■ Focus – 3·8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불어라 여풍(女風)아!

3월 8일 치러지는 제3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열흘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21~22일 후보등록 결과 1347개 농축협·수협·산림조합장 3080명 후보 중 여성후보는 36명(농협 30명, 수협 2명, 산림조합 4명)으로 1.17%에 불과하다.

당초 조합장선거는 각 지역마다 개별 실시됐지만, 부정부패의 온상이 되며 ‘돈 선거’로 불리는 등 공정성 문제가 끊임없이 불거졌다. 이에 2005년부터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사무를 담당하며 개입했다. 2015년 제1회 조합장선거부터는 본격적으로 중앙선관위 관리 아래 선거를 치르고 있다.

3080명 후보 중 여성후보 36명 1.17% 불과
1회 선거 5명 이어 2회에서 8명 당선 영예
“농협직선제 기대 커…여성조합장 비율 높여야”

조합장 권한·혜택·영향력 막강
4년마다 돌아오는 조합장선거가 공명정대하지 못하고 과열되는 양상은 조합장이 누리는 권한과 혜택, 영향력이 막강하다는 데서 기인한다. 조합장은 임기 4년간 억대 연봉에 막대한 업무추진비는 물론, 각종 사업과 인사권 등 지역 조합 운영 전반에 대해 권한을 행사한다.

한 농업기관장은 “행사에서 만난 한 지역조합장이 나한테 은퇴하면 조합장을 도전해보라고 부추겼다”면서 “조합장만 되면 농협의 고금리와 농자재값 차익을 통해 거둔 막대한 영업이익을 속속 알 수 있고, 조합장 자녀에게는 해외연수 기회를 우선 제공하는 등 혜택이 쏠쏠하다고 귀띔했다”고 전했다.

그렇다면 여성조합원이 농협 조합장에 당선된 사례는 얼마나 될까. 2015년 제1회 조합장선거에서 당선의 영예를 안은 여성조합장은 단 5명뿐이다. 2019년에는 8명으로 소폭 증가했으나 당시 전국 1113개 농협 남성조합장 수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안타깝게도 지난 선거에서 당선된 여성조합장 가운데 전남 풍양농협 조합장이 고인이 되면서 현 여성조합장은 7명이다.

여성조합원이 조합장 후보로 도전하는 사례도 드물다. 제1회 조합장선거에서 전체 3523명 후보 중 여성후보는 단 20명이었다. 제2회 조합장선거에서는 전체 3475명 후보 중 여성후보는 27명에 불과했다. 전체 조합장 후보 수에 비하면 소수점을 밑돌고 있다는 점에서 갈 길이 멀다는 탄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농협중앙회장을 뽑는 선거가 10여년 만에 부활한 농협직선제로 시행되면서 여성조합원들이 여성조합장에 도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체 농·축협 조합장이 참여해 한국 농협을 대표하는 농협중앙회장을 직접 뽑음으로써 아래로부터의 의사반영 틀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제1·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성별·후보자 수
제1·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성별·후보자 수

 

“여성농업인들, 외부 활동해야”
해마다 국정감사에서 지적되는 상황임에도 여성조합원 가입, 여성조합원 임원 진출, 여성조합장 도전에 이르는 길이 순탄치 않은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농업협동조합법(농협법)은 여성농업인에게 장애물이자 개선 도구였다. 1988년 농협법이 개정되면서 여성농업인의 조합원 가입이 가능해졌고, 1994년 농협법을 통해 농가에서 여러 농민이 조합원으로 가입할 수 있는 복수조합원제가 도입되면서 여성조합원이 본격적으로 증가하는 계기를 맞게 됐다.

2015년에는 지역농협에서 여성대의원, 여성이사 등 여성임원 선출과 관련 여성조합원이 30% 이상인 지역농협은 여성임원을 1명 이상 선출토록 하는 여성임원 할당제가 시행됐다.

그럼에도 여전히 여성조합원이 되고, 임원이 되고, 조합장선거에 나서는 과정은 ‘하늘의 별 따기’만큼이나 어려운 과제라는 게 여성조합원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이 같은 현실을 극복하고자 전국 소수의 현직 여성조합장들이 모여 전국여성조합장협의회를 출범했다.

박명숙 여성조합장협의회 의장(대구 달서 월배농협 조합장)은 “여성조합원들의 권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여성조합장들이 중추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생활개선회 임원 등 여성농업인 단체에서 활동하거나 조직을 이끈 경험이 무엇보다 값진 자산”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