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특집 : 가정의 달, 농촌가정의 빛과 그림자

일평생을 가족과 자식을 위해 헌신하며 고된 농사일로 굽은 등, 깊게 패인 주름살, 새까맣게 탄 얼굴은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어르신들의 모습이다. 억척스럽게 보낸 젊은 시절을 보상받으며 평안한 노년을 보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남편과 사별하거나 자식과 떨어져 적적한 하루하루를 흘려보내며 쓸쓸한 인생의 말년을 보내는 고령의 어르신들은 농촌의 또 다른 안타까운 단면이다.

취재차 만난 고령의 어르신 네분들은 부족한 돌봄시설과 일자리, 한정된 여가생활로 쓸쓸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그나마 이웃들과 단체회원들이 품앗이로 이들을 챙기며 정부와 지자체의 빈자리를 메우고 있었다.

 

경기도 광주의 남 할머니는 평일은 요양보호사를 주말에 자손들 오기만을 하염없이 기다린다.
경기도 광주의 남 할머니는 평일은 요양보호사를 주말에 자손들 오기만을 하염없이 기다린다.

한달에 병원비·약값만 수백만원…은퇴 없는 삶
평일은 요양보호사, 주말은 자손을 하염없이 기다려
코로나 이후 TV에 더 의존 “장민호·임영웅 보는 게 낙”
홀로어르신 돌봄 빈자리…정부 대신 이웃·단체가 메워

은퇴 없는 농촌 삶
김모(80) 할머니는 경기도 광주 남한산성 아랫자락에 터를 잡은 지 올해로 12년째다. 서울 강남 논현동에서 살다 사업실패로 광주로 내려오게 됐다. 고향인 경북 영주로 갈 수 있었지만 친척들이 많아 더 불편할 것 같은 생각에 원래 살던 곳과 가까운 광주를 택했다.

김 할머니의 동네는 광주 시내와는 거리가 상당하고, 인근이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전형적인 농촌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워낙 동안인 얼굴에 80세를 넘겼을 거라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건강해 보이는 김 할머니에게서 노년의 고단함은 찾아보기 힘들어 보였지만 속내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 기대했던 안락한 삶과는 거리가 멀었기 때문이다.

“남한산성 밑이라 공기도 좋고 남편과 운동도 다닐 수 있을 것 같았어요. 근데 남편 건강이 갑자기 나빠지면서 몇 년 전부터 요양병원에서 지내고 있어요.”

남편의 병원비에 약값까지 달마다 이백만원 이상 들어가는데 외국에 사는 자식 도움을 받을 수 없었다. 자녀가 재산이 있다는 이유로 기초생활수급자 요건도 충족하질 못했고, 부부 앞으로 나오는 매달 48만원의 기초연금이 유일한 수입원이었다. 수소문 끝에 서울의 한 공장에 화장실 청소일을 겨우 구할 수 있었다. 백만원이 되질 않는 돈이지만 본인 생활비에 남편 병원비를 감당할 수 있어 할머니에겐 더할 나위 없이 소중한 돈이다.

“동네는 공공일자리가 도시만큼 없어 서울에 일자리를 겨우 얻었어요. 새벽 4시에 일어나 6시 반쯤 공장에 도착해요. 동네에 다니는 버스는 3대뿐이고, 서울로 가는 버스는 1시간 30분에 한 대씩 와요. 그마저도 하루에 몇 번 다니질 않아 왕복 6시간은 걸려요.”

종교생활을 하며 마음의 위안을 얻어 본인 건강은 나이에 비해 좋은 편이라 다행이라며, 남편이 차도가 있기만을 바라고 또 바랐다.

​홀로 지내는 어르신에게 요양보호사는 가족들보다 더 가까운 존재들이다.
​홀로 지내는 어르신에게 요양보호사는 가족들보다 더 가까운 존재들이다.

요양보호사 오기만 기다려
김 할머니 옆 동네의 남모 할머니는 올해로 아흔을 훌쩍 넘겼다. 워낙 고령인지라 본인이 몇 년도에 태어나 몇 살을 먹었는지도 기억하질 못했다. 나이가 들어 자연스레 청력도 약해져 일반적인 대화도 힘든 지경이다. 오직 기다리는 건 평일 12시면 와 3시간 동안 할머니를 돌보며 점심과 저녁상을 챙겨주는 요양보호사다.

취재차 방문했을 때도 쌀쌀한 날씨였지만 남 할머니는 아침 8시부터 집 앞 의자에 몸을 기대 요양보호사를 기다리고 있었다. 담배 한 모금으로 시간을 보내며 요양보호사를 기다린다는 남 할머니. 오랜만에 찾아온 손님에 남 할머니의 얼굴엔 웃음이 가득했다.

“어떻게 여기까지 왔어. (와 줘서) 고마워 고마워.”

회원들과 직접 담근 열무김치와 밑반찬을 챙겨주기 위해 동행한 김미영 한국생활개선광주시연합회 남한산성면 회장이 남 할머니의 속사정을 대신 전해줬다.

“집이 동네 끝자락이라 사람이 거의 오질 않아요. 종일 여기 의자에 앉아 지나가는 차들만 하염없이 보세요. 바깥분과 사별한 지 오래됐고, 주말에 자손들이 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리시죠.”

빨랫줄에 잘 말려진 시래기와 집 앞 소담하게 꽃을 피운 백합은 찾는 이가 드물어 사람을 그리워하는 할머니의 마음이 담겨있는 듯 했다.

“늙으면 죽어야지”가 말버릇
대개 농촌마을에서 아흔을 넘은 할머니를 보는 일은 드문 일이 아니다. 충남 홍성군 광천면 공수마을 이모 할머니(97)는 백수를 앞두고 있다. 몇몇 자식을 앞세우고 손자와 노년을 보내고 있다. ‘늙은 게 죄지’, ‘늙으면 죽어야지’가 말버릇인 이 할머니지만 하루가 멀다 하게 이웃들이 찾아올 때면 얼굴에 웃음꽃이 핀다고. 그만큼 사람 오는 일 자체가 할머니에게 위로가 되고 있었다.

5켤레 양말과 커피믹스와 간단한 간식거리를 챙겨온 김양순 한국생활개선홍성군연합회장과 회원들에게 이 할머니는 연신 고마움을 표하며 눈물을 보이기까지 했다.

“양말 하나씩 노놔 가져.”

마치 손자를 보듯 따뜻한 눈빛이 가득한 할머니의 마음 씀씀이가 가슴에 와 닿았다. 여느 농촌의 아낙네들처럼 고된 농사일로 수십년을 보내며 몸도 망가졌다. 그래도 또래보다 건강한 편이라는 할머니에게 예전엔 마을회관에서 이웃들과 화투를 치는 게 큰 즐거움이었다.

코로나19 탓에 바로 코앞인 마을회관 출입이 불가능해지면서 유일한 낙이 사라져 버리자 크게 낙담했다. 왠지 가족같이 지내던 이웃들과도 멀어진 것처럼 느껴졌다.

​전동 실버카는 코로나19로 바깥 외출이 줄어들며 어느새 낡아버렸다.​
​전동 실버카는 코로나19로 바깥 외출이 줄어들며 어느새 낡아버렸다.​

TV에 더 의존하게 돼
바로 윗동네의 김모 할머니(93) 역시 아흔을 훌쩍 넘겼다. 몇 해 전까지 흙으로 지은 오래된 집에 살았지만 리모델링으로 안락한 집에서 생활하게 됐다. 비로소 편안한 노년을 보내게 된 것.

하지만 다리 힘이 약해져 거동하기 힘들어졌다. 그래도 코로나19 전에는 하루에 몇 번이고 마을회관을 본인 집처럼 드나들었다. 그만큼 편했고 소소하게 재미있는 일이 항상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모든 게 달라졌다. 집 밖을 나갈 때면 애용하던 사발이로 불리는 전동 실버카는 어느새 낡아버렸다.

그 빈자리는 TV 시청이 대신하게 됐다. 원래도 TV 보는 일이 여가생활의 큰 비중을 차지했지만 코로나19 이후에는 더 의존하게 됐다. 특히 트로트 프로그램 시청은 이 할머니에게 가장 큰 즐거움이 됐다. 소리는 거의 들을 수 없지만 흥겨운 몸짓에 덩실덩실 춤을 따라 출 정도다.

“장민호랑 임영웅이는 잘 생겼대. 테레비에 더 자주 나왔으면 좋겄어.”

할머니를 흐뭇하게 하는 두 사람이 나올 때면 젊은 사람 못지않게 집중해서 본다고 이웃들은 입을 모은다. 할머니를 가장 웃음 짓게 하는 거의 유일한 존재들이다.

​김양순 회장이 준비한 양말에 할머니는 연신 고마움을 전했다.​
​김양순 회장이 준비한 양말에 할머니는 연신 고마움을 전했다.​

가족보다 더 가까운 이웃들 덕분에 버텨
김양순 회장은 혼자 지내는 어르신들을 위해 어버이날을 앞두고 분과회원들과 손수 만든 꽃바구니를 선물했다. 모두가 가족들과 가장 행복한 시간을 보낼 때가 할머니들에겐 가장 쓸쓸한 시간이 될 것 같은 생각에 회원들과 준비한 선물이다. 자그마한 선물도 중요하지만 시간 날 때마다 말벗이 돼 드리는 게 가장 좋은 효도라고 믿는다.

“우리 시어머니도 올해 93세예요. 그래서 더 마음이 쓰여요. 틈날 때마다 와 손잡아 드리고 제철나물로 만든 반찬을 챙겨드리고 있어요. 대단한 게 아니지만 그걸 가장 고마워하시죠.”

정부와 지자체가 해야 할 고령의 어르신을 위한 돌봄을 이웃과 단체들이 메우고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