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주도하는 공동체
새로운 도전의 기회 제공
청년 유입·정착 인프라 개선
​​​​​​​고령화·과소화 지역에 활력

■ 주간Focus- 여성의 선한 영향력이 공동체 활성화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 증가율이 감소하고 있다. 특히 농촌사회는 지방소멸에 직면해 있다. 전형적인 농업지역에서 산업화 시대를 지나며 이촌향도 현상으로 인구가 급감한 곳이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고령화 비율이 절반을 향하는, 역피라미드 인구구조를 형성한 지역도 많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인구위기와 지방소멸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들어 ‘청년’에 주목해 왔다. 관광·문화·경제적 활동 등을 매개로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온·오프라인 공동체 만들기 등 청년 유입·정착 정책과 더불어 막대한 예산을 지원한다. 그리고 서서히 그 구체적인 성과가 드러나고 있다. 
농촌여성신문은 청년여성이 주도하는 공동체 현장을 들여다보고 가까운 미래 우리 사회 공동체의 모습을 그려본다.

지역주민 집에 놀러 가서 텃밭에 있는 재료로 ‘제철밥상’을 함께하는 청년마을 ‘강화유니버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2030 청년들의 모습
지역주민 집에 놀러 가서 텃밭에 있는 재료로 ‘제철밥상’을 함께하는 청년마을 ‘강화유니버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2030 청년들의 모습

'커뮤니티' 감각이란…기여하는 것
“‘강화유니버스’라는 세계가 있습니다. 청년들은 여행을 떠났고, 뭔가 다르게 살 수 있을 것 같은 섬, ‘강화유니버스’에 도착했죠. 시장상인, 동네상점과 축제를 벌이고, 춤추고 노래하며 동네를 들썩이게 만들었어요.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은 경쟁하지 않고 어울려 사는, 얻으려는 게 아니라 기여하려는 ‘커뮤니티(공동체) 감각’을 키우게 됐죠.” 

나서경 ‘협동조합 청풍’ 대표가 전한 ‘강화유니버스’의 세계관이다. 이는 곧 ‘청풍’의 세계관이기도 하다. ‘청풍’은 인천 강화 청년마을 ‘강화유니버스’를 운영하는 주체다. 

‘청년마을’은 행정안전부가 청년들에게 일정기간 지역에 머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탐색, 일거리 실험, 지역사회 관계맺기 등을 통해 청년들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다. 

지난 2018년부터 추진, 3년 동안의 시범기간을 거쳐 지난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해마다 12개씩 조성해 현재 39곳이 운영 중이다. 

‘강화유니버스’ 프로젝트를 2021년부터 진행해 온 ‘청풍’은 강화읍을 기반으로 청년 4명이 2013년부터 함께하고 있다. 지역주민들과 관광·문화·경제 등 콘텐츠를 만들고, 여행 등의 콘텐츠를 컴퓨터에 기록하고 관리하는 작업(아카이빙)을 한다. 

나서경 대표는 “강화에 사는 사람들도 살지 않는 사람들도 ‘강화유니버스’ 안에서 우리가 추구하는 세계관 안의 키워드로 온·오프라인 공동체를 꾸려나간다”면서 “주로 2030세대가 참여한다”고 말했다. 

10여년 전 강화도에서 청년들이 먹고살 수 있는 문화·경제적인 기반을 만들어보고자 출발한 ‘청풍’은 기념품 상점 ‘진달래섬’, 여행자들의 쉼터 ‘아삭아삭순무민박’ 등을 운영한다. 

‘청년마을’ 연간 2억씩 3년간 지원
나서경 대표는 “‘청풍’과 ‘강화유니버스’에서 진행하는 여러 프로그램에 해마다 연인원 2천500~3천명이 함께한다”면서 “이 중 지역주민이 100여명이고 대부분 2030 외지 청년들”이라고 말했다. 

이어 “협력하는 지역공동체, 그 지역의 특성을 살린 생태계를 만든다는 건 어려운 작업인데, 10년 동안 나름의 성과를 이뤘다”고 덧붙였다. 

청년을 주인공으로 한 이 같은 사업은 청년들을 끌어들이며 해당 지역을 탐색하고, 지역주민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돕는다. 더 나아가 청년들의 활동 기반과 교육 네트워크 구축, 청년창업 지원 등 복합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지자체 사업도 활발하다. 청년들에겐 더 많은 기회를, 지역에는 활력을 불어넣는 셈이다. 

‘청년마을’은 청년단체가 직접 기획하는 사업으로 연간 2억원씩 3년간 지원된다. 

행안부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은 청년(만 19~34세)으로 구성된 5명 이상의 공동체(법인 또는 단체)를 대상으로 하며, 2023년 기준 과업수행비 800만원과 멘토·전문가 컨설팅, 주요 활동 홍보, 청년공동체 간 교류·협력 지원비 200만원 등 팀별 1천만원이 국비·지방비 매칭으로 지원된다. 

2018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지난 한 해 170곳이 운영됐다. 하지만 행안부에서 시행 중인 ‘(청년)마을기업’ ‘고향올래’ 등 여러 청년 유입·정착 공모 사업과의 유사·중복, 부정 수급, 예산 등의 문제로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은 2023년도를 마지막으로 종료됐다. 청년마을 역시 예산이 삭감되면서 올해 신규 지정은 없다. 

행안부 관계자는 “행안부와 지자체가 함께 추진해 온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461개의 청년공동체를 선정해 맞춤형 전문가 컨설팅 등을 지원해 왔다”면서 “사업은 종료됐지만 그동안의 성과와 유사·중복 사업 등을 들여다보고 재추진 등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