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 청년농업인 지원사업은?

 

정부, 2027년까지 청년농 3만명 육성 계획

4-H 청년농업인, 승계농 66.5%, 창업농 33.5%
경기·충남·경북 승계농↑ 강원·특광역시 창업농↑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 대비 17.5%다.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2025년에는 고령인구 비중은 20.6%까지 늘어나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농업·농촌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들어선 상태다. 2020년도 농어업 총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농업경영주의 평균 연령은 66.1세이며, 65세 이상 농업경영주의 비중은 전체 농가의 56%를 차지했다. 반면 40세 미만 경영주 농가 비중은 1.2%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은 올해부터 ‘후계 및 청년농 육성 정책협의체(가칭)’를 구성해 분기별로 정책 추진상황을 점검키로 하고, 2027년까지 청년농 3만명 육성을 위한 현장 수요 기반의 체감도 높은 정책 지원에 주력하고 있다.

올해 실시되는 농촌진흥청의 청년농업인 육성 사업들을 알아본다.

▲청년농업인 역량 강화 지원
청년들의 영농 진입단계에 맞는 수준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과 지역단위 코디네이터 육성으로 청년농업인의 기술 성장을 견인하고, 농촌 진입단계와 유형에 맞는 교육을 통해 전문농업인으로 성장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지원내용은 신규농은 기초기술습득과 경영교육, 창업농은 지역자원 연계 전문교육 지원, 승계농은 디지털 마케팅 전략 수립과 유통역량 강화 지원 등이다.

또 청년농업인의 지역 정착을 돕기 위한 ‘코디네이터’ 양성과정 운영(40명)과 농진청의 연구개발 분야에 대한 청년농업인 참여 확대를 통해 기술 고도화 지원, 청년농업인이 직접 참여하는 ‘현장 실증연구 과제’ 지속 발굴, 농진청 소속 연구기관의 전문연구실과 청년 새싹기업(스타트업) 협력을 통한 신제품 개발 등 사업화 지원(1과 1스타트업)이 이뤄진다.

‘똑똑청년농부’ 정보제공 서비스도 지원한다. 청년정책, 사업, 교육, 금융, 법률 등 청년농에게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중앙과 지자체 사업정보, 청년농업인 우수사례, 법률·세무 정보, 작목별 경영모델 등을 제공한다.

▲청년 4-H 회원 현황과 영농형태
지난해 청년 4-H 회원은 149개 조직에 8042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 중 영농형태는 승계농이 66.5%, 창업농은 33.5%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승계농과 창업농 비중에 차이가 존재했는데, 경기, 충남, 경북, 제주는 승계농 비중이 높고, 강원도와 특·광역시는 창업농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 같은 경향은 강원지역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렴한 토지가격으로 영농기반 마련이 용이하고, 특·광역시는 인프라 활용의 유리함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4-H 청년농의 평균 매출액은 1억4천만원 수준이며, 축산(2억7천만원), 특작(1억6천만원), 원예(1억원), 식량(8천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4-H 회원들의 주요 재배작물 소득으로는 오이(1억1천만원), 토마토(1억1천만원), 딸기(9천만원), 배(9천만원), 사과(8천만원) 순이었다. 식량은 쌀(8천만원), 감자(5600만원), 특작은 인삼(1억원), 버섯(1억원) 등의 순이다.

이 같은 수입은 국내 전체 농가의 10a당 매출(총수입)과 비교해 쌀, 복숭아를 제외하면, 평균 매출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농업인 육성 지원사업
올해 농진청의 청년농업인 육성 지원사업은 만 18세 이상∼40세 미만 청년농업인으로, 영농에 종사하고 있는 병역필 또는 면제자가 대상이며, 136곳에 총사업비 68억여원이 지원된다.

사업 주요내용을 보면, 청년농업인의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것으로 신기술, 창업, 전문기술(가공), 제품개발 컨설팅 등이다. 또 신제품 개발과 가공, 상품화, 시제품 제작, 체험프로그램 개발, 브랜드 상품로고 제작, 애플리케이션이나 전자상거래 홈페이지 구축 등도 포함된다.

청년농업인 경영진단 분석 컨설팅도 중요한 지원사업인데, 청년후계농 영농정착 지원사업 대상자와 청년농업인 1천명을 대상으로, 총사업비 9억원이 지원된다. 선도농가 기술이전 모델화 사업에도 16억원이 투입된다. 농업법인, 작목반, 연구회 등 8개 조직체가 대상이다.

청년농업인 협업기반 조성사업으로는 지방농촌진흥기관(농업기술원, 농업기술센터) 등에 6억원을 지원한다. 주요 지원 협업공간은 지역내 청년들의 라이브커머스, 창업, 소통을 위한 공간들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