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지역구 후보 중 여성 10%대 
남성 80% 이상…당헌·당규 못 지켜
여성 의원 비율, OECD 평균 33.9%
​​​​​​​​​​​​​​한국은 17대부터 10%대 머물러

4·10 총선의 핵심 승부처로 꼽히는 ‘한강벨트’에서 여야 두 여성 후보가 만났다. 서울 서초 국회의원을 지낸 경제전문가 윤희숙 국민의힘 후보(사진 왼쪽)와 서울 강남 국회의원을 지낸 전 국민권익위원장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중·성동갑에서 맞붙게 됐다. 중·성동갑은 최근 네 차례의 총선에서 여야가 절반씩 승리한 곳이다. 
4·10 총선의 핵심 승부처로 꼽히는 ‘한강벨트’에서 여야 두 여성 후보가 만났다. 서울 서초 국회의원을 지낸 경제전문가 윤희숙 국민의힘 후보(사진 왼쪽)와 서울 강남 국회의원을 지낸 전 국민권익위원장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중·성동갑에서 맞붙게 됐다. 중·성동갑은 최근 네 차례의 총선에서 여야가 절반씩 승리한 곳이다. 

총선 지역구 대진표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가운데,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지역구 후보 대부분이 남성인 것으로 확인됐다. 여야 모두 ‘여성 대표성’을 강조해 왔지만 당헌·당규로 지정한 여성 의무공천 비중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22대 국회에서도 여성 국회의원 비율은 21대 국회와 비슷하거나 더 적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치권에 따르면 14일 기준 경선 결과를 포함해 최종 공천 대상으로 확정된 후보들 중 여성 후보는 국민의힘은 전체 239명 중 28명(11%), 민주당은 217명 중 40명(18%)에 그쳤다. 일부 지역구가 남아있긴 하지만 각 당이 자체적으로 제시한 30%를 한참 밑도는 수치다. 

제3지대 상황도 다르지 않다. 개혁신당은 51명 중 6명(11%), 새로운미래는 13명 중 2명(15%)이 여성 후보였다.

반면 진보 성향 정당들의 여성 후보 비중은 30%를 넘겼다. 녹색정의당은 17명 중 7명(41%)이, 진보당은 82명 중 36명(43%)이 여성이었다.

공직선거법 제47조 4항에 따라 정당들은 지역구 후보 추천 시 30% 이상을 여성으로 추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에 주요 정당들은 당헌·당규로 지역구 후보 추천 시 여성 최소 할당 비율을 30%로 지정했다. 

특히 여야는 이번 총선에서 여성 할당 비중을 지키기 위한 방안들을 발표하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여성 우선 공천을, 민주당도 전략 선거구에 여성 우선 공천을 공언했다.

여성 후보 공천이 저조하다는 비판이 일자 국민의힘은 후보를 정하지 못한 곳 중 5개 지역구에 대해 ‘국민추천제’로 후보를 뽑기로 했다. 앞서 180명이 지원한 가운데 서류 통과는 18명뿐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주변에서는 강남 2개 지역구를 비롯해 국민추천제 지역구에 여성을 전진 배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5개 지역구는 서울 강남갑과 강남을, 대구 동·군위갑과 북갑, 울산 남갑이다. 

“여성정치 참여확대, 의무조항으로 바꿔야”

민주당이 주도하는 범야권 비례연합 정당 더불어민주연합은 비례대표 30명 중 여성 후보에 13명(43.33%)을 내세웠다.

더불어민주연합은 ▲민주당 20명 ▲진보당·새진보연합 3명 ▲연합정치시민회의(국민후보) 4명 등 총 30명을 추천한다. 민주당은 비례대표 후보 20명을 선발하면서 여성 몫으론 강경윤 민주당 여성국 국장을 명단에 올렸다. 시민사회 몫 국민후보인 여성 비례후보 1·2번은 사퇴했다.

더불어민주연합은 국민후보를 첫 순서에 넣고 여성을 우선 배치한다는 원칙에 따라 비례대표 1번에 전지예 금융정의연대 운영위원을 확정했지만 반미 활동 논란으로 후보직에서 물러났다. 여성 2번 정영이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부회장도 이념 논란으로 자진 사퇴했다. 

이에 시민사회 측은 14일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사법센터 간사인 이주희 변호사와 서미화 전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을 각각 재추천했다.

이 밖에 새진보연합은 용혜인 상임선대위원장을, 진보당은 장진숙 진보당 공동대표·손솔 당 수석대변인 등을 후보로 선정했다.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는 비례대표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국민의미래는 지난 3일부터 9일까지 6일간 비례대표 공천 신청을 받은 결과, 남성 331명(62.5%), 여성 199명(37.5%) 등 530명이라고 알렸다. 

한 자릿수였던 여성 국회의원 비율은 2004년 17대 총선을 기해 10%대를 넘어섰다. 17대 국회 13%, 21대 국회는 19%였다. 여성 의원 비율이 늘고 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33.9%에 한참 못 미친다. 

김은주 한국여성정치연구소 소장은 “22대 총선이 지난 21대보다 지역구 여성 대표성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각 당에서 공천을 받은 여성 후보들이 그대로 당선되면 지난 총선 이상 나올 수 있겠지만 이들이 100% 당선될 보장이 없기 때문에 21대 총선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주요 정당의 여성 의원, 여성 당원 등에서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지 않았다”며 “여성들이 세력화돼 헌법이나 공직선거법을 의무 조항으로 바꾸고, 정치에 진출하려는 여성들이 조직적으로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