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평가된 노동가치 제고하고 적절한 보상 뒤따라야
김수린 농경연 부연구위원 “신규·기존 여성농 대책 동시 마련해야”

고령화로 인한 농업노동력 부족과 채소·과수 중심 영농형태 변화로 중요성이 커지는 여성농업인을 위해 생산성 향상과 노동부담 경감을 위한 지원강화, 기반 조성, 신규인력 유입 정책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수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농업인력 부족과 대응: 여성농업인 확대를 위한 과제’ 보고서를 통해 농사일 중 평균 50.2%를 담당하고 있지만 증가세로 돌아선 남성과 달리 법적지위 미약, 농사일과 가사의 이중 부담, 부족한 영농기술과 남성중심 문화 등으로 여성은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여성농업인의 지속적 감소세는 고용노동력 중 50대 이상 일용근로자 감소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이미 70대 이상 초고령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측면에서, 고령화 심화에 따른 여성농업인 일용근로자 감소는 향후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이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신규 여성농업인 유입과 기존 여성농업인 생산성과 참여율 증진을 위한 대책 마련이 동시에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여성농업인 생산성 향상과 노동부담 경감을 위해 현재 여성의 신체 조건에 적합한 소형·경량·자동화된 여성친화형 농기계의 적극적 개발·보급을 제시했다. 또 종사 비율이 높지만 기계화율이 떨어지는 밭농사용 농기계 개발도 우선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근골격계 질환 등 남성농업인보다 농작업 관련 유병률이 높은 여성농업인을 위해 특수건강검진 사업 확대, 농작업 편이장비 지원 등과 함께, 농번기 마을 공동급식 지원사업 등 가사노동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지원도 강조했다.

농업분야에서 여성 임금근로자의 평균임금은 남성의 48.2%에 불과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는 만큼 여성농업인 노동의 정당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부연구위원은 “동일한 농작업 종류라도 성별에 따라 일당에 차별을 두는 농촌의 관행이 존재하기 때문으로 기존 여성농업인의 이탈 촉진과 신규여성인력 유인 저해를 초래한다”며 “여성농업인의 저평가된 농업노동 가치를 제고하고 적절한 인정과 보상이 따르도록 인건비 수준을 현실화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장기적으로 가부장적인 농촌사회와 남성 주도적인 농업경영에서 여성농업인의 역할을 확대하기 위해 각종 농촌 회의구조에서 여성 참여비율을 높이는 등 리더십 발휘 강화와 생산, 가공, 유통 등 농업경영 참여 기회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