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지역소멸 등으로 농촌은 여전히 위기
농업·농촌 현안 해결의지 있는 참일꾼 뽑아야

2024년 갑진년 청룡의 해가 환하게 밝았다. 지난해의 묵은 시름을 털고 희망의 각오를 다져야 할 새해 첫날이다. 올해 우리 농업·농촌은 물론 국가적으로도 굵직한 대사를 앞두고 있다. 가장 먼저 농민 대통령인 농협중앙회장 선거가 오는 25일 치러진다. 지난달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돼 사실상 선거에 돌입했다. 14년 만에 직선제로 치러지는 이번 선거에 농업계의 관심이 뜨겁다. 4월10일에는 제22대 국회의원을 뽑는 총선이 있다. 나라 살림과 법과 제도, 지방을 대표하는 일꾼을 뽑는 총선도 농촌주민들의 관심사다. 이들 선거 모두 지방소멸 위기 타개와 지역 활력화를 위한 최적의 인물을 뽑아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총선을 앞둔 농어촌지역은 선거구 획정에 불만과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지난달 국회에 제출한 제22대 총선 선거구 획정안이 농촌의 현실을 외면한 안이라는 게 농어촌을 선거구로 둔 후보들의 한목소리다. 그간 국회의원 선거의 농촌 선거구는 인구 기준에 미달하면 인접 지역과 함께 선거구를 구성하는 인구 중심 선거구 획정으로 말미암아 선거 때마다 이합집산을 반복하며 부침을 겪어온 게 사실이다. 이에 농촌지역 선거구 의원들은 인구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농업·농촌·농업인이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인구 중심 선거구 획정은 농어촌 붕괴와 지역소멸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 인구가 적은 농촌지역은 선거구 획정 때마다 타 지역의 선거구에 붙었다 떼어지길 반복하며 선거구를 구성하다 보니 생활과 문화 환경이 다른 시·군이 결합하면서 농촌지역 의석은 장담키 어려운 상황이고, 잦은 선거구 변경은 지역 간 연결고리 단절로 지역 현안과 숙원사업 추진에 차질을 빚어 지역발전의 저해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선거구 획정 기준에 지역인구 소멸을 정확히 명시해 법제화하고, 농어촌 회생정책 수립과 면적특례 개선 등 장기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농어촌 의원들은 주장하고 있다.

농협중앙회장 선거를 앞두고도 농촌주민의 농협 개혁 목소리가 크다. 농협이 진정한 농업인의 조직이란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돈장사가 아닌 본연의 책무와 함께 농업인의 경제·문화·복지적 목마름을 해소하는 사회적 역할에도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부터 인사가 만사라는 말이 있다. 대통령은 물론, 국회의원, 지자체장, 기업의 사원 하나를 뽑는데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 지금 우리 농업·농촌은 격랑의 전환기에 놓여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와 그에 따른 불안정한 농산물 가격,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점점 확대되는 시장개방, 치료제 없는 각종 병해와 축산질병 등은 지속되고 있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진전으로 스마트농업이 가속화되고 있어 고령자가 대부분인 농업인들은 피로감에 멀미를 느낄 정도다.

하지만 현재의 농업인력 구조가 바뀌어야 농업·농촌에 희망이 있다. 고령농의 관행농법과 인력에 의존하는 농업으로는 경쟁력이 없다. 정부와 지자체의 더 과감한 청년농 육성정책과 농어촌 정주여건 개선으로 젊은 피가 농어촌에 수혈되도록 해야 한다. 2024년 새해 젊은 청룡의 기운이 우리 농업·농촌에 널리 퍼져나가길 기원해본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