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영역 20개 지수로 이뤄진 농어촌 삶의 지표가 올 상반기 공개된다. 2020년 시행된 제4차 삶의 질 기본계획으로 투·융자로만 51조629억원이 투입된 데 이어 2025년 제5차 삶의 기본계획은 농촌공간계획법 시행, 고향사랑기부제 기부와 맞물려 더 많은 예산투입이 예상된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신임장관도 이 분야의 독보적 연구자로 농촌 삶의 질 향상에 거는 기대치가 높다.

문제는 기대가 실망으로 전락할 경우다. 국토의 89%를 차지하는 농촌 대신 도시 쏠림현상이 완화는커녕 심화되는 이유는 결국 살기 좋은 곳이 아닌 탓이다. 경제 활성화라는 미명하에 주거지 수백미터 거리에 농공단지나 축사가 난립하면서 소음과 분진, 악취와 오염수로 공기 좋고 물 맑은 농촌은 옛말이 된 지 오래다.

수치화된 삶의 질 지표 역시 농촌의 실상을 제대로 반영하기보다 농촌협약을 비롯해 중앙정부가 공모사업 선정을 손쉽게 하기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을 거란 우려도 있다.

읍내로 편히 갈 수 있는 교통편, 삭신이 쑤실 때마다 갈 만한 의료시설, 아이 웃음소리가 들리는 학교, 저녁이나 농한기 때 즐길 수 있는 여가시설, 집 앞에 위험하거나 유해한 시설이 없는 게 주민들이 바라는 농촌의 삶이다.

점수 매기기에 매몰되지 말고 일상에서 체감하는 삶의 변화가 있어야 농촌에 살고 싶은 이들이 농촌살이를 포기하지 않을 수 있다. 농촌에는 아직 살 만한 매력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