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경력단절 여성 등 경제활동 실태조사 결과 발표
코로나로 일 그만둔 여성 66%가 30대…“긴급 자녀돌봄 때문”

만 25~54세 여성 중 전 생애에 걸쳐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은 10명 중 4명(42.6%)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력단절 평균 발생연령은 29세, 경력단절 기간은 8.9년으로 조사됐다. 

경력단절은 결혼, 임신·출산, 육아·교육, 가족구성원 돌봄으로 인한 경력단절을 말한다. 

여성가족부는 만 25~54세 대한민국 여성 85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경력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결과를 지난 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경력단절 경험, 경력단절 당시와 재취업 뒤의 일자리·임금 변화, 경력단절 이후 첫 일자리 구직활동, 경력단절 예방과 재취업 지원에 필요한 정책 등을 조사했다. 

임신중·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 활용↑
경력단절 여성 노동시장 재진입 ‘적극적 구직활동’ 늘어
여가부 “일·생활 균형 가능한 직장문화 조성해야” 

옛 ‘경력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 촉진법’(경력단절여성법) 제7조에 따라 3년마다 실시되는 국가승인통계이며 가구 방문, 개인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2025년부터는 개정된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과 경력단절 예방법’ 제8조에 따라 ‘여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가 실시된다. 

지난해 8월1일부터 10월7일까지 진행된 실태조사 결과, 모든 세대에서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이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보다 경력단절 경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코로나19 시기(2020년 3월~) 일을 그만 둔 여성의 65.6%가 30대이며, 일을 그만 둔 당시 53.9%가 대면업무가 많은 서비스 업종에 종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일을 그만 둔 직접적 요인으로 ‘긴급한 자녀돌봄 상황의 대응방안 부재’를 가장 많이 꼽았다.

자녀 여부에 따른 경력단절 경험
자녀 여부에 따른 경력단절 경험

경력단절 이후 첫 번째 일자리의 현황을 살펴보면 ‘사무직·전문가’ ‘상용직’ ‘전일제’ 일자리는 감소했고, ‘판매·서비스직’ ‘임시직·자영업자’ ‘시간제’ 일자리는 증가했다.

경력단절 뒤 첫 일자리 임금은 경력단절 이전의 84.5% 수준이며,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현재 임금은 경력단절을 경험하지 않은 여성의 84.2% 수준으로 경력단절이 임금격차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당시 재택·원격근무를 사용한 여성은 22.5%로 2019년에 비해 8.7%p 상승, 일·가정 양립 제도 등 활용 비중이 높아졌다. 임신 중 근로시간 단축제는 28.5%(2.8%p↑),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는 21.1%(2.0%p↑), 육아휴직 사용 후 직장으로 복귀한 비중은 54.3%(11.1%p↑)로 2019년보다 비중이 커졌다. 

육아휴직 사용 뒤 직장에 복귀하지 못한 사유로는 자녀양육과 일 병행의 어려움(39.9%), 믿고 돌봐줄 양육자 부재(29.7%), 믿고 맡길 시설 부재(10.7%) 순으로 응답했다.

경력단절 당시 모성보호·일가정 양립 제도의 활용률
경력단절 당시 모성보호·일가정 양립 제도의 활용률

구직활동 여부와 기간 관련, 경력단절 이후 첫 일자리를 찾기 위한 적극적 구직활동은 38.6%로 2019년보다 6.0%p 오르며 비중이 늘었다. 구직활동 평균 기간은 11개월로 2019년보다 5.5개월 단축됐다.

출산 등으로 경력단절의 위기가 있었으나 경력을 이어갈 수 있었던 이유로는 가족구성원의 양육지원(43.2%), 지금 힘들어도 미래발전 있는 일이어서(30.7%), 일·양육 병행 가능한 직장문화(11.6%) 순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위기 극복 요인
경력단절 위기 극복 요인

조사시점 당시 비취업 여성의 경우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38.1%)’에 대해, 취업 여성의 경우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 확충(35.6%)’에 대해 정책 요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사전예방 정책 강화

여성가족부는 경력단절 경험 여성에 대한 정책 방향과 관련 통합지원서비스를 강화한다. 재취업 초기 단계에서부터 경력단절 여성 등 구직자의 특성·경력·역량 진단과 심층상담, 경력개발 설계를 통해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직업훈련, 취·창업과 고용유지 사후관리까지 통합지원 원스톱서비스를 지원한다. 

아울러 역량 강화와 양질의 일자리 연계를 위해 정보통신기술(IT)·바이오 등 미래 일자리 증가가 전망되고 구인·구직 연결(매칭)성과가 높은 신기술·고부가가치 직업교육훈련을 확대하고, 지역 핵심산업 수요와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타 부처, 민간기업, 협회, 단체 등과 협업해 대상별(경력단절 여성, 청년 여성, 재직 여성 등) 특화형·현장맞춤형 전문인력 양성과 일경험 연계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진입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경력단절 예방 강화를 위한 구직-입직-임신·육아기-중간관리자 등 생애주기별 경력단절 예방 서비스(진로지도-경력설계·개발-직장적응-경력발전) 지원을 더욱 촘촘히 해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을 사전에 방지한다. 

특히 여성의 경력단절은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이 가장 큰 원인임을 고려해 재직여성 대상 심리상담·경력개발 코칭과 멘토링 지원, 기업 인사담당자 대상 인사·노무와 유연근무 등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 자문(컨설팅)·교육을 활성화해 여성이 경력단절 없이 지속 일할 수 있는 근로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김현숙 여가부 장관은 “경력단절이 애초부터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경력단절 여성의 양질의 일자리 진입을 위한 신기술과 고부가 직업훈련을 확대하고, 재직여성의 경력유지·개발, 일·생활 균형이 가능한 직장문화 조성 등 정책을 민간기업, 관계부처와 적극 협력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