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2022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결과 발표

농어촌 청년층, 가족․경제적 안정이 행복 요소
농어업 종사여부, 거주지, 연령대별 정책요구 상이

지난 18일 농업전문지 브리핑에서 이승돈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장이 ‘2022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지난 18일 농업전문지 브리핑에서 이승돈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장이 ‘2022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농어촌지역 40대 이하 청년층은 농어촌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낮지만 행복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농어업에 종사하지 않는 농어촌 주민 10명 중 2명은 도시로의 이주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진흥청은 농어업인의 복지 증진과 농어촌지역 개발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전국 농어촌 4천가구를 대상으로 한 ‘2022 농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는 2004년 시작돼 5년 주기로 실시되는데,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해 9월1일부터 10월15일까지 진행된 기초생활 여건, 환경‧경관, 안전, 생활 전반에 대한 내용이다.

농어촌 생활만족도, 청년층이 최저
조사결과를 보면, 이주민 비율이 높은(30대 이하 96.3%, 40대 84.7%) 청년층의 농어촌생활 종합만족도는 다른 연령대보다 낮았고(30대 이하 51.3점, 40대 52.7점), 특히 문화·여가 여건(39.1점)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재 삶의 행복감은 높았는데, 30대 이하는 62.6점, 40대 64.9점으로 조사됐다.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가족(30대 이하 33.6%, 40대 52.7%)과 경제적 안정(30대 이하 25.9%, 40대 23.4%)을 꼽았다.

쓰레기․빈집이 농촌경관 해쳐
농어촌 경관을 해치는 주된 요인으로는 버려진 생활쓰레기(29.5%)와 빈집‧빈터(19.3%)라는 비율이 높았다. 농어촌 경관을 유지‧보전하기 위해서는 제도와 정책을 개선(49.3%), 주민들이 자발적 참여(20.7%)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쓰레기 처리 문제 개선을 위해서는 지자체의 정기 수거 확대(38.5%), 분리배출을 위한 마을 공동수거함과 퇴비장 마련(22.5%), 무단투기 감시 CCTV 설치 확대(21.8%) 등을 요구했다.

농어촌지역 주민이 지역 환경에서 낮게 평가하는 부분은 소음‧진동(57.6점)과 악취(59.8점)였는데, 소음‧진동은 자동차(59.8%), 악취는 축사(55.7%)를 주원인으로 지적했다.

지역 안전을 위해서는 안전한 보행자 길 정비(26.2%)와 CCTV 설치 확대(23.8%)가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마을주변 도로 안전을 위해서는 도로 폭 확장과 포장, 차도와 인도 사이 울타리 설치, 보행자 전용도로 설치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화재에 취약한 요소로는 노후 주택의 전기‧가스 시설(41.6%)을 가장 많이 꼽았고, 논‧밭두렁‧야외쓰레기 소각(19.9%)이 뒤를 이었다.

농어가의 폐영농자재 소각 비율은 5년 전보다 늘었으나(1.3→3.6%) 논‧밭두렁‧야외쓰레기 소각이 화재 원인이 된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줄어(38→19.9%) 쓰레기 소각에 대한 지속적인 계도가 필요해 보인다.

10가구 중 1가구 5년내 이주 희망
농어촌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194만9천원으로 저축하는 가구는 42.6%로 절반이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세대에서 식료품과 교통‧통신 지출이 가장 많았고, 30대 이하 청년가구는 주거비(10.5%), 40대는 교육비(14.6%), 70대 이상은 보건의료비(21.3%)의 지출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농어촌에서 5년 내 이주를 희망하는 가구 비율은 8.9%로, 농어가(1.0%)보다는 비농어가(12.5%), 원주민(1.0%)보다는 이주민(12.6%)에서 높았다. 이주를 희망하는 주된 이유는 30대 이하 청년 가구는 주택(52.8%)과 직업(34.0%), 40대는 자녀교육(38.6%)을 꼽았다.

이번 조사 결과는 국무총리 소속의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개발 위원회’에 안건으로 보고돼 농어촌 주민의 정책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과 사업의 근거로 활용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