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농촌 양성평등 실태와 개선방안은…

농촌사회에서 ‘성차별’이 가장 빈번한 불평등 유형
여성이 직접 성평등 전문강사 돼 점진적 변화 유도

여성의 농촌진입, 성차별이 장애물
코로나19와 집값 상승, 도시일자리 부족 등으로 귀농·귀촌은 대한민국 인구이동의 유의미한 흐름이었다. 하지만 속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는 여성이 상대적으로 농촌진입에 더딘 수치를 보이고 있다.

최근 성별 귀농인구를 보면 2017년 여성비율이 33.3%이던 것이 2019년 31.4%, 2020년 32.4%, 2021년 32.8%로 소폭 하락했다. 그사이 귀농인구가 1만2763명에서 1만4461명으로 늘어난 것에 비춰볼 때 여성에게 농촌은 남성보다 살고 싶은 곳이 되지 못하고 있다.

여성의 농촌진입 발목을 잡는 여러 이유 중 성평등 문제도 그중 하나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인구가 적은 농촌사회 특성상 사회적 이슈에 어둡고, 특히 성차별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불평등 유형이다. 이는 그릇된 인식과 사생활에 대한 지나친 관심이 결합된 것으로, 친근감의 표현으로 결혼과 출산이 필수라며, 미혼·비혼인 여성에게 일삼는 부적절한 언행은 정착 또는 예정인 여성에게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기존에 거주하는 농촌여성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최근 여성농업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여성농업인들은 직업적·사회적 지위가 남성에 비해 낮다고 응답했고, ‘경제적·사회적 지위향상’을 시급히 해결해야 할 우선순위로 꼽았다.

이 같은 문제인식에서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사회의 성평등 교육기반을 확대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2020년부터 ‘농촌특화형 성평등 전문강사’를 길러오고 있다. 매년 위촉된 전문강사는 강의활동에 나서고, 14시간의 보수교육 수료, 강의실적, 강의점검 등 재위촉 요건을 충족하면 다시 위촉을 받아 활동할 수 있다.

가족경영협약·성평등 전문강사 효과 뚜렷
농촌진흥청의 가족경영협약 교육은 성평등의 시작을 가족에서부터 출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부모와 자녀간에 협약을 맺기도 하지만 부부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부부간 협약사례를 보면, 가사와 농사일 분담부터, 수익금 분배, 근로조건, 각자의 여가시간 확보 등을 서류화함으로써 부부가 평등한 가족구성원으로서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또한 농식품부의 농촌특화형 성평등 전문강사는 지난해 신규 14명, 재위촉 28명 등 42명이 양성됐다. 전국 11개 기관의 농업교육과정 중 성평등 점검 46회를 수행했다. 올해는 성평등 관련 교육수강과 강사활동 경력을 가진 여성농업인이 전문강사에 지원할 수 있고, 강사로 활동할 수 있는 역량을 쌓게 된다.

이렇게 배출된 전문강사는 주요 농업관련 교육기관 내 교육과정에서 모니터링단으로서 성인지적 분석에도 나선다. 교육과정을 성인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성역할 고정관념, 성차별 등 6개 분야 20개 항목으로 구성된 지표가 개발돼 있다.

농촌여성정책팀은 양성평등 교육도 보다 확대한다. 성평등 강의가 필요한 농촌마을과 단체의 신청을 받아 교육비를 일부 부담하고, 전문강사를 소개한다. 신청은 연중 가능해 되도록 많은 곳이 교육혜택을 받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오미란 농식품부 농촌여성정책팀장

‘성인지 감수성’ 보편화에 역할

농촌사회가 특히 청년여성에게 매력적인 공간으로 부각되기 위해서는 성인지 감수성이 더욱 보편화돼야 한다. 정(情)이라는 이름으로 때로는 젊은 여자라는 이유로 서슴없이 결혼이나 출산을 강요하는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농촌사회는 여성이 정착을 꺼리는 큰 이유로 남아 있다.

이처럼 아직은 둔감한 농촌사회의 일상생활 속 무수히 부딪히는 상황에서 성차별적 요소에 발견하는 걸 뛰어넘어 성평등 실행과 실천력을 가지는 농촌사회가 되도록 성평등 전문강사가 전국에서 활약하고 있다. 시행한 지 기간은 그리 길지 않지만 충분히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어 내고 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