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생각 비율이 2020년보다 40%나 증가

농업농촌 치유기능으로 지역활성화 꾀해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2년 이상 장기화하면서 우리 국민들의 정신건강이 여전히 우려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돼 이에 대한 더 면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를 통해 조사한 ‘2021년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에 의하면, 지난해 12월 조사에서는 우울 위험군 비율이 18.9%로 3월 조사(22.8%) 때보다 감소했고, 자살생각 비율도 3월 16.3%에서 12월 13.6%로 줄어드는 등 2021년 초보다는 국민들의 정신건강 수준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코로나19 발생 초기였던 2020년 3월에 비해서는 자살생각 비율이 40%나 증가하는 등 코로나19 장기화와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지속으로 인해 국민들의 정신건강이 위험 수준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조사와는 별도로 코로나19에 따른 외부활동 제한으로 가정 내 생활시간이 증가하면서 가정폭력과 자녀와의 마찰 등 가족 간 불화가 늘어난다는 뉴스도 종종 접하게 된다. 
코로나19 국민건강 실태 조사결과를 보면, 코로나19로 인한 우울 위험은 여성, 30대가 모든 성별·연령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는 육아·자녀교육 등을 주로 전담하는 기혼여성들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쳐 그들이 경제적 위기에 처하고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이번 복지부의 조사에 의하면,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필요 서비스에 대해 응답자들은 감염병 관련 정보, 경제적 지원, 개인위생물품 지원 등을 희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심리상담이나 정신과 치료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코로나19 발생 초기보다 증가해 향후 단계적 일상회복과 함께 국민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정책서비스의 확대가 시급해 보인다.

이러한 코로나 우울증 치유를 위해 저밀도 지역이자 자연경관과 공익적 기능이 풍부한 농촌지역으로의 치유관광이나 이를 콘텐츠로 한 치유농장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다양한 농업농촌 체험을 통해 심리적 안정 등 육체·정신적 위안을 얻는 치유농업은 디지털문명의 고도화와 각종 재해, 질병 등으로 지친 국민들에게 치유와 재충전의 안식처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앞으로 전도가 유망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농업이 국민 먹거리 생산이라는 기본 기능 외에도 이제는 국민들의 정신건강을 돌보는 중요한 산업임이 여러 연구를 통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이런 순기능이 많은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국민들의 우리 농업농촌에 대한 대대적인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여전히 정부 부처 전체 예산 중 밑바닥 수준인 농업 예산의 대폭적인 증액과 연령별·성별·분야별 맞춤형 농촌복지정책, 다양한 농가소득 보전 대책 등을 통해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소멸 위기에 처한 농촌을 살리는데 힘써야 한다. 

코로나시대, 농업농촌 문제는 비단 그곳에 살고 있는 농촌주민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농업농촌의 위기는 국가 먹거리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농촌경관의 훼손은 국민건강에도 악영향을 준다. 농산업이 국가 미래동력임을 국민 모두가 깨닫고 그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