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 농촌은 … 코로나19 장기화로 줄폐업 위기 농촌체험농장

정부는 지난달부터 16일까지 코로나19로 영업시간 제한을 받는 소상공인과 기업을 포함해 약 55만 곳에 손실보상금으로 500만 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이르면 설 연휴가 시작되기 전에 지급도 가능하도록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연이은 소상공인 지원에서 농촌체험농장이 빠진 데 이어 이번 손실보상금 지원에서도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정부당국이 지원에 손을 놓고 있는 사이 농촌체험농장은 줄폐업 위기에 직면해 있다.

▲ 박숙기 대표는 체험객이 줄고 먹거리 체험이 거의 불가능해지며 매출에 있어 이중고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영업제한명령 받지 않은 업종이라 농촌체험농장 손실보상 제외
농식품부 농촌할인 지원, 소비자만 혜택보며 농업인은 도움 안돼
​체험객 줄며 매출 급락…인원제한 업종으로 포함시켜 정부 지원 시급

코로나 장기화로 직격탄 맞은 농촌체험농장
정부는 지난달 집합금지와 영업시간 제한 조치에 따른 소상공인과 소기업을 대상으로 손실보상금 1조7000억 원을 지급했다. 올해 손실보상금 선지급 500만 원도 이어지며 피해업종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농촌체험농장은 여전히 대상에서 빠져 있다.

경기 평택의 농촌체험농장 킹콩이 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박숙기 대표도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며 경제적 어려움이 눈덩이처럼 커지며 하루하루를 겨우 버텨가고 있다.

“2019년과 비교했을 때 2020년은 30% 정도밖에 안 됐고, 지난해는 위드 코로나로 잠시 거리두기가 풀려 반타작 정도 됐어요. 많을 땐 100명 넘게 체험을 하기도 했지만 인원제한 때문에 20명 미만으로 근근이 진행하고 있어요.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다시 예약이 줄줄이 취소됐어요. 카페나 꽃집은 얼마간이라도 보상받았는데 왜 체험농장은 똑같이 손님을 못 받는 같은 자영업자인데 왜 지원을 못 받는지 어디에 물어봐도 시원한 답도 들을 수 없어요. 이젠 그냥 포기하는 단계죠.”

약 3000평의 벼농사를 짓던 박 대표는 체험농장으로 전환하며 이전보다 8배나 매출이 급성장하며 신바람 나던 시절도 있었다. 농업기술센터의 체험농장 강사 기초·심화과정을 들으며 실력을 쌓고, 도시농업 지도사와 레크레이션 교육까지 마스터했다. 거기다 중고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체험장으로 확장하며 지역에서 손꼽히는 체험농장으로 성장했다. 박 대표의 성공담을 직접 목격한 농가들은 생산 위주에서 체험농장으로 탈바꿈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몰려드는 체험객에 손이 모자라 방송국에 다니는 딸에게 일을 그만두고 함께 하자고 할 정도였다.

“연락처를 가지고 있는 어린이집만 300곳이 넘어요. 블루베리, 사과, 샤인머스캣, 고구마 등 수확시기가 다른 작물을 재배하고 있어 프로그램이 다양해 1달에 1번씩 오는 어린이집도 있었어요. 강정, 떡, 깍두기, 피자처럼 농산물로 만들 수 있는 먹거리 체험이 농장의 효자노릇을 톡톡히 했죠. 수확체험은 체험비가 1만 원인데 먹거리가 포함되면 1만5000원에서 2만 원이거든요. 근데 코로나19로 체험객들이 마스크 벗는 것에 부담을 느껴 먹거리 체험을 거의 못 했어요. 체험객이 줄어든 것도 타격이 크지만 수확체험만 하니 체험비도 줄고 프로그램도 단순화됐죠.”

▲ 체험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며 매출의 효자노릇을 하던 먹거리체험 진행은 거의 불가능해졌다.

농촌여행 할인 지원은 그림의 떡
농림축산식품부는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농촌체험휴양마을과 체험농장을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결제금액의 30%를 돌려받을 수 있는 캐시백 서비스를 시행했었다. 하지만 소비자에게만 혜택이 돌아갔을 뿐, 정작 체험농장은 정부 지원을 일절 받지 못하고 있다.

“뉴스에서 체험농장 할인 지원이 있다고 들어봤지만 농장의 체험객 중에 물어보는 경우도 없었고, 무엇보다 농업인에게 오는 지원이 아니잖아요. 우리한테 그림의 떡이나 마찬가지예요. 남편이 직장생활을 하고 있어서 저는 상황이 그마나 괜찮은 편이지만 주위에서 이런 식이면 문을 닫겠다는 체험농장이 수두룩해요. 교육도 좋고 컨설팅도 좋지만 당장 얼마간이라도 지원이 정말 급해요.”

상황이 어려워지자 어쩔 수 없이 박 대표는 지난해 농산물 판매를 목적으로 면세사업자를 따로 냈다. 체험농장으로 일반사업자 등록이 돼 있는 상태라 세무서에서 조사를 직접 나온 끝에 사업자를 따로 낼 수 있었다.

“사업등록자를 갱신하며서 체험농장은 기타 개인서비스업으로 돼 있더라구요. 우리도 소상공인이란 얘기잖아요. 농업인이라 손실보상금을 못 받는다는 얘기는 말도 안 되는 소리죠.”

체험농장이 정부 지원에서 사각지대에 머무르면서 일부 지자체는 자체적으로 재원을 마련해 정부의 지원에서 사각지대에 놓인 체험교육농장에 지원을 하기 있기도 하다. 경남 합천군은 체험교육농장을 포함해 88개 업체에 1억7000만 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경기 고양시도 타격이 크지만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한 10개 업종에 농촌체험농장을 포함해 100만~200만 원의 지원금을 지급한 바 있다.

하지만 일부 지자체의 사례일 뿐 농촌체험농장은 정부와 지자체의 코로나 관련 지원금에서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정부는 시설 인원 제한에 따른 손실보상을 위해 이달 내 손실보상법 시행령 개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촌체험농장도 인원제한을 받고 있는 만큼 손실보상금 지급 업종에 포함돼야 한다는 게 현장의 절실한 목소리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