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농촌가정 비결은-농가경영연구원 정용선 교수

제5차 여성농업인 육성계획에는 양성이 평등한 농업·농촌 구현이 핵심 추진전략으로 지목됐다. 농촌지역의 양성평등 의식을 고취하고 나아가 문화로 정착하기 위한 교육의 중심엔 가족경영협약이 있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생활지원과장 출신인 한국생활개선중앙연합회 부설의 농가경영연구원 정용선 교수는 농가경영 합리화를 위한 가족경영협약의 중요성을 설파하고 있다.

▲ 가족경영협약은 다양한 순기능을 인정받으며 2021년까지 452농가가 참여했다.

가족경영협약으로 구성원이 평등한 경영상 이끌어
협약농가 우대방안 법제화·프로그램 세분화는 숙제

일석다조 가족경영협약
가족경영협약(이하 협약)은 부부 또는 부모와 자식간 이해와 배려, 효율적인 농작업·여가 분배, 경제적 독립 등에 긍정적 효과를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0월15일 여성농업인의날 행사에서는 생활개선회의 대표사업으로 가족경영협약이 소개되며 합리적인 농가경영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얻었다. 실제로 협약 이후 참여자들은 ‘교육이 일과 생활을 균형있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82%)’, ‘여성과 가족들이 농업에 의욕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데 도움이 된다(99%)’는 피드백을 얻었다.

▲ 정용선 교수

정용선 교수는 “아직도 농촌가정은 소통이 부족해 왜 일하고 무엇을 위해 땀 흘리는지 공감대가 부족해 갈등이 발생하는데 협약은 가족이 같은 곳을 바라보자는 취지”라며 “농업도 경영이 필요한 시대이기 때문에 가족이 각각의 임무를 분배하고, 이익을 월급이나 용돈으로 줄 건지 어떤 방식으로 줄 건지 등을 포함해 광범위하게 약속을 정할 수 있어 그 순기능은 무궁무진하다”고 밝혔다.

정 교수의 지적처럼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이 참여하는 농업은 일방적 의사결정과 불분명한 지위 때문에 성과와 책임이 모호한 한계가 있다. 자연스레 의욕이 떨어지고 갈등이 유발돼 농업을 포기하는 사례가 심심찮게 발생하곤 한다. 더군다나 요즘엔 자식세대들이 농업에 뛰어드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갈등의 영역도 확장돼 심화되는 게 특징이다.

그래서 부부 중심이던 협약도 자식세대들의 참여가 늘고 있다. 최근 3년간 협약에 참여한 75농가 중 승계농인 자녀와 참가한 농가는 21농가로 비율로 보면 28%다. 초기엔 부부가 중심이었다면 부모의 뒤를 잇고자 귀농하는 자식세대들이 늘면서 협약에 참여하는 비중도 커져가고 있다.

정 교수는 “승계농이 토로하는 어려움은 불규칙적인 지시, 부모가 투자와 농작업, 품종선택과 판매 등 대부분의 영역을 주도하고 자식은 결정 참여를 제한하는데 있다”며 “서로가 양보할 건 양보하고 이해할 건 이해하기로 약속하고 그걸 문서화하면 그 효과는 협약을 맺기 전에 예상한 것보다 훨씬 크다는 걸 많은 참여자가 경험한다”고 설명했다. 

전국에 고루 확산됐으면…
코로나19로 협약은 어쩔 수 없이 줄었지만 1박2일의 교육과정을 최대한 보장하고 이어가고자 노력했다. 수박 겉핥기 식의 교육이 되지 않기 위해 일정시간을 함께 보내며 역지사지하는 계기가 되기 위해선 1박2일 교육이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2020년엔 61명이던 참여자도 지난해엔 121명까지 늘어난 것도 그 효과를 모두가 인정한 결과다. 시간을 함께 보내며 작성하는 협약서에는 구체적으로 노동보수와 수익배분, 휴일과 노동시간, 경영이양, 재산 상속과 부모의 노후 보장, 가사와 육아 분담, 생활비 배분, 지역사회활동과 여가내용 등을 포함하는데 부부모델·부부-자녀모델·부부-자녀부부모델·부부-자녀 경영이양모델 등으로 구분되며 협약의 전문성을 높였다.

2021년 기준으로 협약을 맺은 농가는 452호다. 특히 강원도와, 경상남도, 경상북도는 여성농업인 육성 조례에 협약내용을 포함해 전국으로 확산되는 중요한 디딤돌이 되고 있다. 지난해는 한국생활개선충청남도연합회에서 협약을 중점적으로 진행했다.

그래서 정 교수는 “협약을 중점적으로 진행하며 좋은 반응을 경험한 도 지역도 있지만 아직도 소홀히 하고 있는 지역도 있어 올해는 전국에서 골고루 진행되는 해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으로 협약은 청년 승계농 교육에 협약을 의무적으로 포함하고, 30명 이내로 교육인원을 제한하는 것, 그리고 수료농가에 재교육과 이행했을 때 겪었던 어려움을 컨설팅하는 사후관리도 필요하다. 현재 13명인 교수진도 확충하고 협약농가 우대방안의 법제화를 이번 대선 공약으로 포함하는 것도 필요하단 의견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