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단체, 멧돼지 개체조절에 미온적인 환경부 성토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진 농가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 농가와 방역당국이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축산단체들이 ASF 확산의 한 원인인 야생멧돼지 저감대책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대한한돈협회와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성명서를 내고 “최근 경기도 연천의 비무장지대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된 사건은 한돈산업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충격적인 일”이라며 ASF 전파의 최대 복병으로 떠오른 야생멧돼지 대책에 미온적인 환경부를 강력히 성토했다.

한돈협회는 “유럽 등 우리보다 먼저 ASF를 경험한 여러 나라를 통해 야생멧돼지가 바이러스 전파의 주범이 됐던 사례를 확인했다”면서 “환경부가 수수방관해 또다시 야생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될 경우 모든 책임을 환경부가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도 같은 주장을 펼치며 “국내 멧돼지 서식밀도는 5.2마리/100㏊로 높아 멧돼지의 직접적인 바이러스 전파, 멧돼지 간 순환감염, 폐사체 매개를 통한 농장 전파가 매우 우려된다”며 선제적인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3일 비무장지대에서 발견된 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를 확인한 후 접경지역 멧돼지 시료와 분변시료, 발생농가 주변과 접경지역 하천의 물과 토양을 조사한 결과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야생멧돼지나 접경지 하천수의 바이러스 오염 가능성을 단정할 수는 없지만 예찰과 조사를 강화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이어서 야생멧돼지 개체수 조절을 두고 축산단체와의 마찰이 계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