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일 수출의존도 높은 파프리카‧백합 등 타격 우려

▲ 지난 5월22~23일 열린 상반기 농식품 수출상담회에 전시된 수출되는 한국 신선농산물들.

수출품목․대상국 다변화 시급…
정부․농가들 日 조치에 촉각

일본의 산업소재 수출통제 등 한일 무역 갈등으로 인한 불똥이 한국 농산물에 튈까 우려하는 농가의 목소리가 크다.

그도 그럴 것이 한국의 최대 농식품 수출시장이 일본이기에 일본이 한국산 농산물에 대한 수입 규제 등을 추가적 보복조치 카드로 내놓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018년 우리나라 전체 농식품 수출액은 69억3000만 달러로 이중 대일 농식품 수출액은 13억2400만 달러, 전체의 19.1%를 차지한다. 중국 16%와 미국 11.6% 보다 높다. 반면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농식품은 6억5100만 달러로 대일 수출액의 49% 수준에 불과하다.

이에 농가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일본의 한국 농산물 수입 규제가 현실화하면 대일 수출 비중이 높은 파프리카, 토마토 농가를 비롯해 일본에 가공농산물을 수출해온 중소기업들이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대일 수출 비중이 큰 5대 품목은 파프리카(9182만 달러)와 김치(5610만 달러), 인삼류(3284만 달러), 토마토(1336만 달러), 백합(690만 달러) 등의 순이다. 특히 수출되는 파프리카와 백합의 99%가 일본을 향한다. 토마토는 79.4%, 김치는 57%로 일본 의존도가 높다.

이와 관련해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윤경윤 부장은 “현재(8월5일)까지 국산 파프리카의 일본 수출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윤 부장은 “현지 바이어와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의논을 하고 있으며, 통관 지연을 노린 전수조사 등에 대비해 파프리카 재배농가에 철저한 PLS(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 관리를 당부하고 있다”며 “정책적으로 농식품부, aT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대만이나 중국시장 등으로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한국백합생산자중앙연합회 제1대 최명식 회장은 “백합의 일본 수출은 1990년대 초부터 시작해 2011년 3300만 달러로 수출에 정점을 찍은 이후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데, 앞으로 일본으로의 수출이 더 어렵게 될까 우려하고 있다”고 고충을 말했다. 최 회장은 “러시아, 중국시장 등으로 백합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고 백합 생산자가 참여하는 신품종 육종으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농식품부는 연이어 대일 농식품 수출 점검회의 등을 개최해 품목별 예상 피해상황 분석 등을 통해 수출 통관지원과 국내 소비촉진, 수출시장 다변화 등 대비책을 마련 중에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현지 네트워크를 통해 특이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에 신속한 대응조치를 실시할 수 있게 대책을 마련 중에 있다”면서 “아직 일본 정부에서 한국산 농산물 규제방안에 대한 공식적 발표가 없는 상황이라 먼저 대책을 발표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한편, 농축산물 업계는 일본이 우리 농산물을 추가 규제 대상으로 삼을 경우 수입량을 제한하기보다는 검역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애를 먹일 것으로 보고 있다.

눈에 보이게 수입을 막기보다는 검역을 지연시키거나 통관 기준을 높이는 방식이다. 가령 농산물 수입 물량의 일부를 무작위로 선별해 조사하는 지금의 샘플링 방식의 검역을 전수검사로 바꿔 대일 수출을 제한하는 조치다.

한편, 올해 상반기 전체 농식품 수출액은 전년대비 0.2% 감소한 34억6000만 달러로, 주요 수출국인 일본, 중국, 미국은 성장세를 유지했으나 아세안에서는 감소세를 기록했다.

아세안 국가 중 최대 농식품 수출시장인 베트남에선 수출액이 전년대비 11.1% 증가하며 호조를 이어나갔으나, 인도네시아(△14.7%)와 태국(△12.2%)에선 감소세를 보였다.

일본은 6억9000만 달러로 2.7% 증가했다. 중국 5억2000만 달러(5.1%↑), 미국 4억1000만 달러(8.9%↑)로 각각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농식품 수출점검회의를 통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등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해 특정국가 수출 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시장 다변화 방안과 신규 품목의 지속 성장 방안을 논의 중이다.

농식품부 박병홍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신선 농산물뿐만 아니라 생산·물류 여건이나 현지 수요 변화에 따른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작은 가공식품과 식자재 등의 수출시장 개척도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