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수필-귀농아지매 장정해 씨의 추억은 방울방울

"머리가 하얗게 센
민들레 머리가
풀밭에 가득하다"

구김살 없이 햇살은 쏟아지고 물오른 수목마다 그 이파리가 녹색으로 번져간다. 이제 피지 않은 꽃이 없고 잎이 나지 않은 나무가 없다. 새순이 잘 보이지 않던 은행잎도 딱정벌레처럼 동그랗게 새순이 다닥다닥 붙고, 제피나무의 자잘한 어린 새순은 반짝반짝 윤기가 난다. 뽕나무, 머루나무는 싹이 늦더니 한마디 새순이 솟을 때마다 아예 빨갛게 열매를 달고 나온다. 배나무도 꽃이 진 자리마다 송이송이 열매가 맺혔다. 지금부터는 본격적으로 배 적과(솎아주기)를 해야 하고 적과가 끝나면 봉지를 싸줘야 한다.

작년 한여름 극심한 더위에 에어컨이 고장나고 냉장고도 냉동이 되지 않아 고생한 것이 생각나서, 올 여름을 미리 준비하려고 남편이 적금 탄 돈으로 지난주에 둘 다 교체했다. 500리터 냉장고에 뭐가 그리 많이 차있었던지 버릴 것을 죄다 꺼내놓고 보니 마당 한편이 수북하다. 한낮 햇살이 뜨거워져서 새벽부터 일찍이 배 적과를 시작해야 하지만 냉장고 쓰레기를 먼저 치우기로 했다.
엊저녁부터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가지가 어룽어룽 거실 커튼에 그림자를 뿌리며 심상찮더니 오늘 아침엔 손이 시리다. 마당 온도계를 보니 영상 1℃. 자칫하면 겨우 콩알만큼 자란 어린 열매들이 냉해를 입는 건 아닐까 싶다. 농원이 산중턱에 있어 평지보다는 3~4℃ 온도가 낮지만 일교차가 너무 커 나무들이 잘 자랄지 염려된다.

하던 일을 멈추고 집안으로 들어와 아침밥을 먹고 다시 배밭으로 나갔다. 남편은 사다리를 타고 나무 위쪽 가지를, 나는 나무 아래 손 닿는 부분을 적과해 나간다, 한 무더기 중 가장 큰 것 하나를 남기고 나머지는 잘라내는데, 시작할 때는 집중을 하다가 어느새 생각이 다른 것에 팔리면 송아리 전체를 잘라먹어 만회할 수 없는 실수를 한다.

요즘 허리병(퇴행성 척추관 협착증)으로 주덕에 있는 통증전문병원에 치료를 받으러 가는데 2주일에 한번씩 3번 치료를 받으라고 한다. 한 번 갈 때마다 쌀 두가마니 값 정도의 치료비도 만만찮은데 주사바늘로 척추관절에 약물을 주입하거나 수십 대의 침을 찌르는 아픔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이제 마지막 세 번째를 남겨두고 그 생각에 빠져있다. 다행히 실손보험이 있어 치료비의 70%는 받을 수 있다하니 돈 문제는 그렇다 치고, 멈춘 듯 가는 세월에 퇴행하며 가는 몸이 얼마를 견디며 갈 수 있을지…. 다리에 힘이 풀리는 것 같다. 같은 자세로 오래 있지 말라는 의사의 말이 떠올라서 배밭에 풀썩 주저앉는다. 머리가 하얗게 센 민들레가 풀밭에 가득하다.

어린이날 서울 사는 손자와 아파트 놀이터에 산책을 갔었다. 계단 틈에 풀밭에 보도블록 사이에 어디서든 민들레를 볼 수 있었다. 아무도 돌보지 않고 관심조차 없었지만 강한 생명력으로 구김살 없이 활짝 피어있었다. 그가 나지막이 말을 건넨다. ‘살아 있는 것은 신나는 일이야~ 자식의 자식을 만나고 그 눈을 들여다봐. 어여쁘지~ ’ 아침이면 꽃을 피우고 저녁이면 동그란 씨앗으로 바뀌어서 한줄기 바람에 다음을 기약하며 생명을 퍼뜨리려 날아간다.

민들레 동그란 씨앗줄기를 입에 대고 ‘후후~~’ 부는 건 어린이들의 최고의 놀잇감. 잘 날아 가기도 하고, 잘 날아가지 않으면 침까지 섞어가며 오리주둥이를 하고 ‘후~ ’ 불어대는 손자의 모습은 너무너무 귀엽다. 안 되면 “할머니, 잘 안 돼요.” 하며 울상을 짓다가도 다시 날아가는 홀씨를 보며 깔깔대며 웃는 손자가 사랑스럽기 그지없다.

윌리암 워즈워드가 그의 시 <무지개>에서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라고 한 말이 떠오른다. 아마 어린이의 순수한 감수성을 높여 쓴 것이리라.
나는 주저앉은 배밭에서 민들레 홀씨를 날린다. ‘그래, 지금 나는 살아있지. 생명이 넘치는 오월을 살고 있는 거야.’ 가수 양희은의 ‘일곱 송이 수선화’를 입안에 흥얼거리며 나는 다시 적과 가위를 집어 들고 자리에서 일어선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