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에 1~2번은 농업기술센터 소장을 만나곤 한다. 그때마다 빠지지 않는 질문은 단연 센터의 특화된 기술개발이다. 전북 고창의 수박, 경북 문경의 오미자처럼 지역의 특화된 작목에는 반드시 센터의 혁신적인 기술이 뒷받침돼 있다. 연구개발(R&D)기능을 보유한 센터에서 농업인에게 기술이 전해져 높은 농업소득이 뒤따르는 건 당연한 결과다.

헌데 농촌진흥청의 자료에 의하면 전국 156개 센터 중 무려 93개는 지도·보급기능만 담당하고 있다고 한다. 센터의 가장 핵심적 역할인 R&D기능, 즉 기술이 빠진 농업기술센터가 거의 60%에 육박한다고 하니 충격적이면서 한편 안타까운 일이다.

그렇다면 원인은 무엇일까? 농촌지도직이 90년대 말 국가직에서 지방직으로 바뀌고 행정기관과 통합된 곳이 많은 게 주원인으로 생각된다. 행정직 공무원이 센터 소장으로 부임하면 아무래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R&D 혁신의 동력이 약해진다고 모두들 입을 모은다. R&D기능이 약해지면 그 피해는 오로지 그 지역 농업인의 몫이다.

센터는 농업인과 현장에 가장 밀착해 있는 기관으로 기초단위 R&D의 주체로서 더할 나위가 없다. 따라서 센터가 지역의 R&D 주체의 역할을 공고히 하기 위해 농촌지도직의 국가직 전환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당면과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