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 비무장지대로 확산되면 남북 모두에 재앙

▲ 지난 11월27일 국회 제2소회의실에서는 소나무재선충이 북한까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다양한 예방사업의 제안이 이어졌다.

1988년 첫 발생 후 전국 109개 시군구서 99만본 피해
장기예방주사제가 가장 효과적이고 부정적 영향 적어
황폐한 산림의 북한, 북진 저지 위해 마지노선 구축해야

소나무의 위기, 전체 숲의 위기로 연결
1988년 부산 금정산에서 최초 발생한 소나무재선충의 북진이 급기야 파주까지 진행돼 북한 산림까지 퍼질 위험이 커지고 있다. 땔감이 부족해 이미 많은 산림이 훼손된 북한에 소나무재선충마저 퍼지게 되면 되돌릴 수 없는 재해가 될 수 있어 남북협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단시간에 급속히 수분·양분의 통로를 막아 나무를 시들게 하는 소나무재선충은 한 번 걸리면 치료약이 없어 100%가 고사되는 병으로 소나무만의 위기가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 숲의 위기가 될 수도 있다. 이에 지난 11월27일 국회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예방방제를 위한 여의도 포럼’이 열려 많은 이목이 집중됐다.

경기도 이화영 평화부지사는 “지난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북에 양묘장 10개 건설이 약속될 정도로 산림협력은 남북화해의 출발점이자 상징이 될 수 있다”면서 “최근 남북철도연결이 미국과 UN의 제재대상에서 제외된 만큼, 소나무재선충을 포함해 북의 산림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예방 나무주사제, 환경에 비교적 안전
발제에 나선 전남대학교 농화학과 김진철 교수는 “현재 전체산림 면적 633만ha 중 25%가 소나무로 목재·송이·잣 등 연간 998억 원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물론이고 국민의 68%가 선호하는 수종으로 꼽힐 정도로 사랑받고 있다”면서 “2005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이하 특별법) 제정 등 범정부적 노력으로 감소하던 것이 2013년 다시 급격히 확산돼 지난해 기준으로 109개 시군구에서 99만 본이 피해볼 정도로 양상이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교수는 “예방법으로는 지상방제, 항공방제, 무인헬기가 있지만 많은 살포금지지역 존재, 약효기간 1년 이내, 농약살포로 생태계 교란, 처리기간 이후 일정기간 출입제한 등의 단점이 있다”며 “매개충 나무주사제의 경우 직접 방제가 아니라 재감염 우려가 있고, 소나무재선충 예방 나무주사제(장기)는 약효가 6년간 지속되고, 환경에 비교적 안전하며 단기보다 적은 천공수와 크기의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이성규 산림과장은 “경기도내 18개 시군에서 발생한 소나무재선충의 방제를 위해 올해 114여억 원이 투입됐다”면서 “기존의 피해목 방제에서 벗어나 예방사업 중심으로 전환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어 예방사업별 시범단지를 경기도 피해목의 67%가 몰려있는 광주시에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재선충 북진 저지 위해 경기도에 마지노선 구축해야
경기도의회 김현삼 의원은 소나무재선충의 북진 저지를 위해 경기도에 마지노선을 구축해야 한다면서 그 이유로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현재 파주까지 퍼져있는데 최대 청정구역인 비무장지대까지 확산된다면 이는 남북 모두에게 큰 재앙이 될 것”이라면서 “북한의 산림조성과 맞물려 소나무재선충 공동방제 논의가 활발한 만큼, 우선 우리나라에서 확산을 막아야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김 의원은 “경기도의 소나무 자산을 지키고, 북한으로 소나무재선충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남한산성 일원에서 실시예정인 표본사업을 시작으로 보존가치 지역 장기예방주사제 예방사업 실시, 거점마다 예방주사제로 저지선 구축, 저지선을 경기도 이남으로 이동 등의 순서로 펼쳐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의원은 이를 위해 “향후 북한으로의 저지선 구축을 위해 강원도와 협력해 공동사업을 추진해야 하고, 남북협력을 대비해 특별법도 이에 맞게 개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