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칼럼-채희걸 본지 고문

농업기술센터 소장 지방직화로
센터 업무추진 중심축 농정으로 기울어
농촌지도공무원과 농민들 불만 커

요즘 시·군농업기술센터 직원들로부터 불만스런 얘기를 많이 듣는다. 
불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방자치제를 본격 도입한 뒤 국가직이던 농업기술센터 소장이 지방직이 되면서 센터 소장은 군수의 지휘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군수가 농정공무원을 센터 소장으로 임명하거나 농촌지도공무원을 임명했더라도 군수의 지시에 따라 센터업무의중심축이 농정으로 기울고 있어 농촌지도사업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게 그들의 첫 불만이다.

공무원들은 진급을 목표로 열심히 일하는데, 직원들의 진급기회가 축소된 것을 두번째 불만으로 꼽았다. 특히 58개 시군농업기술센터는 농정과 농촌지도업무를 통합 관리하고 있다. 이런 센터는 소장직을 거의 농정공무원이 독점하다시피해 진급 통로가 완전히 막혀 불만이 많다. 

센터 소장의 지방직화 폐단은 농촌지도공무원에 국한된 게 아니다. 농민들은 센터 소장이 지방직화 된 후 농정에만 주력하고 농촌지도사업은 소홀해 그에 따른 불만이 많다고 토로한다. 가슴에 품고 표출치 않는 농민의 불평을 간과 해선 절대 안된다.

센터 소장이 지방직이 된 후 농촌진흥청이 새 기술 지도지침 시달과 연찬교육을 목적으로 한 전국 시군농업기술센터 소장 회의에 소장들의 불참사태가 일고 있다. 이 같이 소장들의 불참사태 등은  농촌진흥청의 농업기술보급체계의 근간을 크게 흔드는 사안이다.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농촌진흥청장은 이런 사태를 방관하지 말고 행정안전부 장관과 협력해 빨리 수습해야 한다. 센터 소장의 지방직화로 빚어진 여러가지 폐단을 일거에 해결하려면 센터 소장의 국가직화 환원을 빨리 서둘러야 한다. 센터 소장의 국가직화는 농촌진흥청이 연구개발한 새 기술의 농가보급 지도의 효율적인 연결고리를 되찾기 위한 선결과제다. 또한 농촌진흥청, 도농업기술원, 시군농업기술센터간 수직적인 조직의 정체성 확립에도 크게 기여하는 일이다.

한편, 농민들은 도시가구에 대비해 소득이 취약해 도농 소득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 농촌은 상대적 빈곤과 청년 이농 등으로 많이 위축돼 있다. 센터 소장을 국가직으로 빨리 환원시켜 과거 통일벼 보급 때 보다 더 큰 거국적인 지도과제를 마련해 농민을 살려야 한다.

다음으로 도농업기술원과 시군농업기술센터의 기관명 개명을 강력 건의한다. 특히 농업기술센터의 개명을 서둘러주길 바란다. 기관 이름은 기관의 품격과 위상, 소속 직원의 품위를 지켜내는 이름이 돼야 한다. 치킨센터, 심부름센터와 같은 이름들이 남발하고 있어 농업기술센터라는 이름의 기관명은 소속직원과 농민의 정서에 맞지 않는다. 

또한 농업기술센터란 이름은 조직의 업무 내용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이름으로, 개명을 서둘러야 한다. 농업기술센터는 농촌현장지도기관으로 농업기술지도에 앞서 농촌지역사회 개발과 농촌인재 양성을 위한 청소년 지도, 농민학습조직체 육성 지도를 우선해야 한다. 기관명을 농업기술에 국한해 농촌사회지도부문을 배제시킨 것은 천만 부당하다. 농촌진흥청-도농촌진흥원-시군농촌진흥소로 하는 수직적 조직정체성을 반영하는 이름으로 개명해야 한다. 

끝으로 요즘 들어 행정안전부에서 금산군농업기술센터를 금산군인삼지도센터로, 고창군농업기술센터를 고창군복분자지도센터 등으로 시군의 특산농산물 집중생산 독려하고자 개명을 조장하고 허용해준다고 하는데, 이는 결사 반대한다. 시군 농민을 대상으로 농촌지도사업을 총괄 지도·운영하려면 이러한 기관 개명을 절대 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