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흡연자와 금주자, 무 신앙자 발병율 높아

여성이 81.9%…
남성보다 사회교류 적은 탓

운동과 담을 쌓고 지내는 등 신체 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사람이 중증(重症) 치매에 10배나 더 잘 걸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증 치매 환자수는 술ㆍ담배를 거의 하지 않아 사회적 교류가 적은 사람에서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건국대병원 신경과 한설희 교수팀이 2009〜2013년 서울 광진구에 사는 65세 이상 주민 3만5721명 중 치매 진단을 받은 1409명의 진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한 교수팀은 치매 환자 1409명을 증상의 정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눴다. 이중 증상이 가장 심한 중증(severe) 치매 환자는 554명이었다. 한 교수팀은 논문에서 “중증 치매 환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고령자, 여성, 저학력자, 흡연ㆍ과음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 신체 활동이 적은 사람, 신앙생활을 하지 않는 사람이 많았다”고 기술했다.

중증 치매 환자수에서 성별론 여성(454명, 81.9%)이 남성을 압도했다. 비흡연자(502명, 90.6%)가 과거 또는 현재 흡연자(46명, 8.3%)보다 10배 이상 많았다.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의 수(498명, 89.9%)도 과거 또는 현재 과음자(50명, 9.1%) 수의 거의 10배에 달했다.
이는 음주ㆍ흡연이 중증 치매 예방 효과를 나타냈다기 보다는 여성의 낮은 흡연ㆍ음주율 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 교수팀은 논문에서 “음주ㆍ흡연이 치매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선 아직 찬반양론이 있다”며 “금주ㆍ신체적 비활동ㆍ종교 활동 미참여 등 ‘사회적 아웃사이더’라면 치매 진단 등 의료 서비스를 제때 받기 힘든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중증 치매 환자 554명 중 신체 활동이 적은 사람의 수는 509명(91.9%)에 달했다. 이는 신체 활동을 게을리 하면 중증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 무신론자이거나 매주 1번 이상 교회ㆍ절을 방문하지 않는 등 신앙생활을 하지 않는 사람의 비율은 67.1%(372명)였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