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2015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 발표

사회적 차별 경험 여전...40.7%

다문화가족의 고용률과 월평균 가구 소득이 증가하는 등 생활여건이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결혼이민자·귀화자 5명 중 2명은 사회적 차별을 경험하는 등 여전히 한국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는 지난 26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15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다문화가족지원법에 따라 3년마다 실시한다.

조사 결과 전국 결혼이민자·귀화자 가운데 월평균 가구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가구 비율은 41.9%(2012년)에서 32.6%로 줄어든 반면 300만원 이상인 가구는 26.6%에서 37.0%로 증가하는 등 경제적 여건이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비율도 63.9%로 3년 전보다(55.8%) 증가했고 우리나라 전체 고용률(60.3%)보다 높았다.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도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혼인지속기간은 평균 9.77년으로 3년 전 결과인 8.8년보다 길어졌다. 결혼 초기(5년 미만 ) 이혼·사별로 인한 가족해체 비율도 35.2%에서 29.6%로 낮아졌다.

하지만 배우자와의 관계에 만족하는 정도도 3.98점(5점 만점)으로 3년 전(4.19점)보다는 낮아졌지만 일반 부부(3.84점)에 비해서는 높은 편이다. 부부간 하루 평균대화시간도 일반 부부보다 길어서 1시간 이상 대화한다는 응답이 일반부부는 40.3%인데 이들은 50.7%였다.

한국 체류 기간이 길어지면서 문화 차이나 언어문제도 줄어들었다. 주관적 한국어능력은 3.7점에서 3.81점으로 높아지는 등 자신감도 상승했다.

부부간 문화척 차이 경험 59.2%

반면 이들 가운데 40.7%가 사회적 차별을 경험하는 등 여전히 한국 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 경험은 여성, 이민·귀화자, 읍면거주자보다 도심에서 높았다. 또 이혼·별거 상태에 있는 이들이 상대적으로 차별 경험이 높았다.

3년 전보다 이웃 등 사회적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도 높아졌다. 집안에 어려움이 있거나 도움이 필요할 때 의논할 사람이 없다는 대답이 30%나 됐다. 38.9%는 여가·취미생활을 같이할 상대가 없고, 30.2%는 자녀교육 관련 의논 상대가 없다고 대답했다. ‘외롭’는 응답도 31.4%에서 33.6%로 높아졌다.

부부간 문화적 차이를 경험했다는 응답은 59.2%로 3년 전 50.6%보다 증가했다. 문화적 차이는 식습관(36.9%)의 차이가 가장 컸고, 가족행사 등(23.0%), 자녀양육방식(19.0%)에서 문화적 차이를 경험했다.

이에 여가부는 다문화가족의 소득수준과 한국어 능력이 향상되는 등 생활여건이 개선되고 있지만 사회적관계 형성에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고 다문화가족의 사회적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은 “지역사회 등에서 다문화가족이 사회적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자조모임과 같은 다양한 관계형성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결혼이민자·귀화자는 30만4516명(추정)으로 지난 2012년(26만6547명) 대비 7.5% 증가했다. 출신 국적을 보면 중국(한국계)이 30.8%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중국 22.4%, 베트남 20.8%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다문화 가구도 27만8036가구로 3년 전 대비 4.3% 증가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