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년 전 정부가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살고 싶은 농촌, 돌아오는 농촌’을 표방하며 범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10년이 지난 지금도 농촌, 농업문제는 ‘백약이 무효’ 인 듯하다.
농촌은 이미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 고령사회로 가고 있다.
농촌 이농현상은 근본적으로 소득문제, 교육, 의료 등 농촌 생활환경이낙후되었기도 하지만 여성이 농촌에 사는 것을 기피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최근 귀농, 귀촌인구가 해마다 늘고 있다지만 농촌문제를 푸는 근본대책은 아닌 것 같다.
고향을 지키고 살아온 부모님 세대가 떠나고 나면 과연 누가 우리농촌, 농업의 대를 이어갈까 궁금해진다.
농업은 자연재해에 무한정 노출되어 있어 개인의 힘으로 피해갈 수가 없다. 기계화가 진전되었다고 하지만 열악한 농작업 환경은 말 그대로 중노동에 해당한다. 이런 열악한 환경을 그냥 둔 채 여성이 농촌으로 돌아오길 기대하긴 어렵다. 의사결정권의 대부분을 쥐고 있는 여성시대에 여성이 없는 농촌은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농촌여성들이 지금 겪고 있는 열악한 농작업에서 오는 농부증(Farmer's Syndrome)은 심각한 수준이다.
농촌은 결코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사과를 따고 우유를 짜는 낭만적 전원생활이 아니다. 여성이 살고 싶은 농촌은 교육, 의료, 문화, 소득문제가 중요하지만 중노동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농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농업, 농촌문제는 복지적 측면에서 여성과 노인복지 기반을 확충하는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 같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여성친화도시 확대 사업을 보면서 왜 ‘여성친화농촌 만들기 사업’은 없는가 생각해 본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