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도계육 중심으로 가격 결정돼야”

닭고기와 계란의 가격 불안정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유통단계별 가격 연동성을 높여 수급 상황에 따라 소비자가격이 합리적으로 반응하는 선순환 유통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유통주체의 의사결정단계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양계산물의 유통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것.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정민국 연구위원은 ‘물가안정을 위한 축산물과 축산식품 유통체계 구축 연구’에서 “닭고기 산업은 의사결정단계가 최소화된 계열화 체계가 이미 구축돼 있음에도 가격불안정성이 해소되지 못하는 원인은 비계열물량의 거래로 형성되는 산지 닭 가격이 닭고기 시장의 중심가격이 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도계육(지육) 중심의 가격결정방식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정 연구위원은 이어 “닭고기 계열업체의 과다경쟁도 닭고기 시장의 가격불안정의 주요 원인”이라며 “계열업체 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닭고기 수급조절능력의 향상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폈다.

그는 또 “계란시장의 가격불안정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계란집하장(GPC) 중심의 산지유통체계가 확립돼야 하고, 대도심 거점 계란유통센터와 연계를 통해 많은 계란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계란 분산에 유통상인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협동조합 중심의 계열화가 활성화돼 계란산업의 균형발전을 유도하고 계란시장을 안정시켜 나가는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