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철 뉴질랜드 특파원

조 병 철
뉴질랜드 특파원
원예 컨설턴트

현대 국가의 경쟁력은 인적자원에 의해서 결정된다. 잘 나가는 국가일수록 여성이 남성에 못지않게 일할 수 있도록 여성 인력개발을 위한 교육적·사회적 장치를 잘 해 놓은 반면에, 그렇지 못한 국가는 이것에 있어 뒤진다.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춘의 (Fortune, October 8, 2012) 조사에 의하면 남성과 여성의 수입이 비슷한 국가일수록 GDP가 높다는 얘기다. 세계경제포럼에 발표된 세계성차별보고서를 분석한 기사 내용을 살펴본다. 
남성 보수에 대한 여성 보수의 비율에 있어 룩셈부르크와 노르웨이가 동등한 수준으로 앞서가는 한편 미국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다. 미국에서는 여성의 교육 수준이 남성보다 높은 데, 임금수준은 남성의 88% 수준이다. 그 밖에 사우디아라비아도 여성의 교육기회는 남성보다 앞서 있으나, 국가 노동인력의 15%만이 여성이다. 여성의 사회참여에 대한 문화적 차별이 심하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교육기회는 양성에 동등한데, 사회구조상 여성의 고급인력 구성비는 9%에 지나지 않는다. 다른 유엔(UN)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일본의 여성 취업기회 박탈로 인한 GDP 손실은 16%에 달하고, 이는 연간 국가 전체에 460억불에 해당된다. 이에 대한 개선 없이는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인도의 경우는 정부기관에서의 양성차별은 없으나, 농촌 인구비율이 높아 보건, 교육, 경제적 사정으로 여성의 사회진출기회는 낮다. 이러한 시회여건으로 여성은 남성 임금의 31% 수준에 머문다.
아프리카 부룬디는 조사대상 135개국에서 제외된다. 그런데 유일하게 여성 취업인구가 남성을 추월한다. 브룬디 여성의 임금 수준은 남성의 80% 달한다. 
한국 여성의 임금은 남성의 41% 수준으로 일본보다 뒤져있다. 이번 조사분석이 동·서양간의 문화적 차이를 감안한다할지라도 세밀한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다.
이제 양성간의 동등한 취업기회와 임금수준 보장은 기회불균등을 토로하는 여성들만의 주장이 아니다. 국가 경쟁력 차원의 안건인 것이다. 현대의 국가 경쟁력은 구성요소 인력풀에 의해서 좌우된다. 국가의 인력의 반수를 차지하는 여성인력의 활용 없이는 지속적인 국가발전은 요원하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