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특집 : 농번기만이라도 부엌서 벗어나고파~ (공동급식이 없는 마을 실태는...)

충남 서산 인지면 야당2리 볏가릿대마을. 이병구씨를 중심으로 모판작업을 하던 남성농업인 10여명은 새참을 먹고 막걸리로 목을 축이고 있었다. 이들은 정오가 되자 오두막에 모여 이씨의 처남댁 조영호씨가 준비한 끼니를 먹었다.

조영호씨는 “마을회관에서 경로당 운영비를 활용해 공동급식을 한다지만, 만65세 이상만 지원대상”이라며 “정부에서 도시락으로 식사를 지원해주면 좋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점심시간에 조영호씨는 남성들의 수발을 드느라 잠시도 앉질 못했다. 남성들이 식사를 마친 뒤 남은 빈 그릇과 잔반처리도 조씨의 일이었다.

농번기 남성농업인들의 점심식사를 챙기고 있는 (사진 왼쪽)조영호씨.
농번기 남성농업인들의 점심식사를 챙기고 있는 (사진 왼쪽)조영호씨.

농촌여성, 시어머니·남편 끼니 챙기다 병 얻어
“일부 지자체서 하는 공동급식 지원사업 확대돼야”

부엌일은 당연히 여성의 몫(?)
시모와 남편의 식사를 30여년 살뜰히 챙겨온 김선신 인지면생활개선회장은 “찬밥을 밥솥에 두면 맛이 없어 아침·점심·저녁 새밥을 지어 시어머니 식사를 챙긴 게 습관이 됐다”며 “최근에는 피로가 누적되고 장염까지 걸려 병원신세를 졌다”고 전했다.

김 회장은 “애정리마을회관에서 경로당 운영비로 주3회 운영하는 공동급식을 시어머니가 드시고 있다”면서 “며느리가 챙겨드려야 하는 식사를 한 끼라도 덜 수 있어 심적으로 편하다”고 속내를 내비쳤다.

충남·충북도는 도 차원의 농촌마을 공동급식 지원사업이 없다. 시군에서 경로당운영비를 활용해 공공급식을 운영하는 마을회관이 많아 충남도에서는 이에 발맞춰 공동급식 도우미 지원사업으로 인건비를 지급하고 있다.

한채형 충남도 농업정책과 주무관은 “코로나19로 마을회관이 닫으면서 단체도시락 배달업체 지원을 꾀했다”며 “거리상 배달불가지역의 마을이 많았고 주민들도 한솥밥을 나눠먹길 원하지, 집으로 각자 배달되는 도시락을 달가워하지 않아 사실상 공동급식 도우미 인건비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남편 쉬는데 아내는 집안일
충북도의 경우 충주·음성·제천지역에서 시·군 예산만으로 농촌마을 공동급식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이들 지자체는 자체사업으로 농촌마을 공동급식지원사업을 통해 연령제한 없이 식사를 지원하고 있어 지역민들의 호응이 크지만, 지자체 재량에만 맡기고 있어 같은 충북도여도 사업을 시행하지 않는 시·군 여성농업인들은 부러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

관련 사업이 없는 김미숙 한국생활개선영동군연합회장은 “농사짓다 말고 밥하러 집에 가면 남편은 쉬고, 나는 부엌에서 또 일하니까 열 받는다”며 “농업기술센터에서 만난 회원들도 날마다 밥하기 힘들다고 푸념한다”고 털어놨다.

농촌에 살아도 농번기면 서로 바빠 도시의 아파트와 다를 바 없다고 느낀다는 김 회장. 

김 회장은 “오죽하면 농번기에는 마을 안내방송으로 이웃의 사망소식을 알 정도로 바빠서 왕래가 없다”며 “급식을 먹게 되면 주민들의 근황도 챙길 수 있고, 밥 한끼라도 가사 일에서 해방된다면 여성농업인들은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농촌마을 공동급식지원사업이 없다보니 마을회관에서는 자구책으로 경로당 운영비에서 부식비를 지출하고 있다. 하지만 어르신을 대상으로 하는 식사는 중년 농업인들에게 실효성이 없고, 농번기엔 회관에 오는 사람도 없어 이마저도 중단하는 마을이 많아지고 있다.

서동걸 서산시 농업정책과장은 “서산에서는 주민들 대부분이 배달음식을 먹거나 음식점으로 이동해 식사를 해결하는 추세”라며 “농촌마을 공동급식지원사업을 시비 100%로 지원하면 식재료 물가가 많이 올라 어려운 부분이 있고, 지원사업을 시행하더라도 급식을 먹는 주민만 계속 이용하는 단점이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