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혁신 및 경영안정 대책’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

▲ ​10월 5일 윤석열 대통령은 경상북도 상주시 스마트팜혁신밸리를 방문해 제9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했다. (사진 제20대 대통령실 제공)

첨단·지능의 온실․축사 신축, 청년농․선도농에 제공

•농가경영 안정 위해 농자재 가격 구입비용 내년에도 지원

•농업직불제 규모 5조원까지 단계적 확대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5일 제9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농업혁신 및 경영안정 대책’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우리 농업은 고령화가 심화되고 젊은 층의 창업이 감소하면서 인력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탄소중립, 자연재해 및 노동력 부족 등 대내외 위협요인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 환율·금리 상승 등이 농업 경영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농업의 지속가능한 미래성장산업화를 이루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농업혁신과 경영안정 대책’의 주요 내용이다.

첫째로 농업의 미래를 선도할 청년농 5000여 명을 매년 신규 육성해 2027년까지 청년농 3만 명 육성을 목표로 창업 준비 단계부터 성장단계까지 전주기 맞춤형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청년농에 지급하는 영농정착지원금의 지원대상을 2023년에 대폭 확대(2000명 → 4000명)하고 단가도 인상(월 100만 원 → 110만원)한다.

청년농 대상 농지 공급을 대폭 확대한다. 청년농이 원하는 농지를 30년간 임차해 농사를 지은 후 매입할 수 있는 선(先)임대-후(後)매도 제도를 내년부터 도입한다. 청년농의 스마트팜 창업을 돕기 위해 온실을 지을 수 있도록 땅을 정비해 임대형 스마트팜, 임대주택을 모두 제공하는 청년농스타트업단지도 내년부터 신규 조성한다.

농업기반 투자 시 투자·담보 능력이 부족한 청년농의 금융부담도 크게 완화한다. 청년농에게 지원하는 융자금(후계농업경영인 육성사업)의 상환기간 확대(15년 → 25년)와 금리 인하(2% → 1.5%)로 청년농의 연 상환 부담이 약 45% 감소할 것으로 농식품부는 예상했다.

스마트팜을 시작하는 경우 최대 30억 원까지 융자(청년스마트팜 종합자금)를 지원하며, 운영 중 일시적 경영 위기 시 1년간 상환을 유예(최대 3회)해 청년농의 경영 안전망을 강화한다.

생애 첫 투자를 희망하는 청년농에게 금융 공공기관이 담보 없이 직접 투자(농식품통합지원펀드)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청년농에게 투자하기 위한 청년농 전용펀드(영파머스펀드)를 2027년까지 1000억 원 규모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청년 등이 농촌에 만족하고 정착할 수 있도록 주택·돌봄·교육 등 필요한 생활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생활권을 400개소 구축하고, 청년보금자리주택 조성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자연재해, 탄소중립, 노동력 부족 등의 문제 대응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시설원예·축사의 30%를 스마트화한다. 이를 위해 농업인·기업·전문가 등 민간 역량 강화, 품목별 스마트팜 확산, 데이터·인공지능(AI) 플랫폼 등 스마트농업 확산 기반을 체계적으로 구축해나간다.

농업인의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을 키우기 위해 스마트농업 보육센터(4개소)를 중심으로 생산자 단체와 협력하여 실습 중심의 현장 교육을 강화한다.

기존 온실·축사에 환경제어·데이터관리 등 즉시 적용 가능한 기술과 장비를 보급해 스마트 시설로 전환한다. 온실에서 재배하는 주요 품목(딸기, 화훼 등)의 주산지 중심으로 정보통신기술(ICT) 장비·인공지능(AI) 서비스 보급을 확대(2021: 6500ha → 2027: 1만 ha)하고, 축사에는 악취·질병 관리 등의 문제 해결에 필요한 시설·장비와 축산 사물인터넷(IoT) 보급을 확대(2021: 4700호 → 2027: 1만1000호)한다.

첨단화·지능화된 온실과 축사를 신축해 청년농과 선도농에게 제공해 스마트농업의 확산을 촉진한다. 간척지 등 유휴부지에 대규모(각 100ha 내외)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장기 임대하고, 스마트 축산 단지 조성은 시설이 노후화되고 주거지에 인접해있는 축사 이전과 연계해 추진해 나간다.

각종 생산기반의 기후변화 대응력도 높인다. 가뭄에 대비한 밭작물 자동 관배수 시스템 등 스마트 기술·장비 보급을 확대하고, 자율 주행 트랙터·콤바인 및 드론·로봇 등 첨단 농기계를 개발·보급한다. 기후에 민감한 노지작물의 적정 생산 솔루션(AI 서비스) 개발·보급을 위해 인공위성·드론의 영상정보 활용도 확대한다.

 

기존 농업인 농가 소득·경영·생활 안전망 확충

56만2000명에게 직불금 추가지급, 전략작물직불제 도입

식량안보를 위해 노력해 온 기존 농업인을 위해 소득·경영·생활 안전망도 확충한다.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 공급망 불안으로 치솟은 국제 원자재가격 및 금리·환율 상승에 의한 농가 경영비 부담을 완화하는 차원에서 비료·사료 등 농자재 가격 구입비용을 내년에도 지원한다.

2017~2019년 직불금 지급 농지로 대상을 한정했던 기본직불제의 농지 요건을 삭제해 사각지대를 해소함으로써 내년부터 56만2000명에게 직불금을 추가로 지급하고, 식량자급률 제고 및 가루쌀·밀·콩 생산 확대를 위한 전략작물직불제도 도입한다.

아울러 친환경직불 확대와 탄소중립직불 등을 검토해 농업직불제 관련 규모를 5조 원까지 단계적으로 확대(~2027년)하고, 농업재해보험 대상 품목도 80개로 늘려 농가의 기후변화 대비 안전장치를 강화한다.

영세·고령농의 노후 소득 안정을 위해 농지연금에 더해 임대료 수입과 연금을 함께 받는 임대형 우대상품(연금액 5% 추가지급)을 도입하고, 경영이양직불제도 고령농가에 더 큰 도움이 되도록 고령농은퇴직불 검토할 계획이다.

정황근 장관은 “첨단기술에 친숙한 청년농이 유입되고 청년층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농업 관련 핵심 기술을 우리 농업에 적용하면 우리 농업이 미래성장산업으로 힘차게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며 “청년농 육성과 스마트농업 확산을 주요 농정과제로 관리해 나가면서 식량안보를 위해 노력해 온 기존 농업인에 대한 소득·경영·생활 안정 장치도 확충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