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다문화가정 실태·정책방향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지원정책이 여러 부처에서 추진되고 있지만 결혼이민자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통합에 초점을 둬 결혼이민자 및 자녀들의 사회기여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문화가정을 농촌사회의 구성원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중장기 역량강화 프로그램도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1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대식 연구위원은 농촌의 다문화가정 실태와 정책방향에 대한 연구 결과 초청 설명회에서 이같이 지적하며 “결혼이민자는 한국사회에 적응하고 동화시키고 통합시킬 대상이 아니라 그들의 문화를 인정하고 상호공존해야 할 우리의 동료 및 파트너라는 점을 인식하는 다문화주의적 시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연구위원은 조사결과를 통해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결혼이민자사업들이 그들의 특수한 경험과 현실적 어려움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기존의 일반여성이나 소외계층 대상 프로그램을 유사하게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에따라 그는 결혼이민자들이 자신들의 고국에서 체득한 다양한 문화적 역량을 적극 활용·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자체나 시민사회가 다문화가정의 생활실태와 문제점, 정책 요구사항 등을 면밀히 파악해 맞춤형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박 연구위원은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선 ▲농촌 다문화가정을 위한 사이버 지원체계 구축 ▲혼인 당사자들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사전 교육 ▲농촌 다문화가정 관련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다문화가정 대상 한국어 및 결혼이민자 모국어교육 강화 ▲다문화가정 영농교육 개선 ▲영농기반 구축 및 다문화 후계세대 육성 등을 정책과제로 제시했다.
박대식 연구위원은 “결혼이민자들은 우리나라 농촌의 새로운 인적자산이므로 결혼이민자들을 우리의 동료 및 이웃으로 받아들여 더불어 살아가는 노력이 중요하다”며 “그들의 다양한 문화적 역량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또 “결혼이민자와 남편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는 맞춤형 다문화가정 관련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