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67.5%가 50·60대 가구, 1인 귀농가구 74.1%, 작물재배면적은 감소세

▲ 경북 의성군은 청년층 유입을 위한 이웃사촌지원센터를 설립해 운영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5월29일 경북 의성에서 진행된 제2차 이웃사촌 팸투어 모습,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49만4569명으로 전년대비 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층의 귀농귀촌인구가 늘어나 30대 이하 귀농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인 귀농가구 비중도 지속 증가세를 보였다. 농식품부는 지난 24일 지난해 통계조사에 따른 귀농귀촌의 주요 특징을 발표했다.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49만4569명으로 전년보다 7.4% 증가해 2017년 이후 3년 만에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귀농·귀촌 가구는 35만7694가구로 이중 귀농은 1만2489가구, 귀촌은 34만5205가구로 귀농·귀촌 통계조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런 현상은 지난해 국내인구의 총 이동량이 증가했고, 저밀도 농촌생활에 대한 관심도 증가, 베이비붐 세대 은퇴 등의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때문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국내 총 이동인구는 773만5000명으로 2019년보다 63만1000명이 증가했으며 농촌 순유입(동→읍면)도 늘었다. 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도시민의 귀농귀촌 의향을 조사에 따르면 2019년엔 34.6% →2020년엔 41.4%가 귀농귀촌 의향을 밝힌 바 있다.

지난해 통계로 나타난 귀농귀촌의 특징으로 30대 이하 귀농은 1362가구로 역대 최대치였지만 귀농의 흐름은 전체의 67.5%인 50·60대 가구가 주도했다.

청년농의 증가는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 등의 정책적 유인과 농업의 비전ㆍ발전 가능성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이 배경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귀농귀촌 실태조사에 따르면 30대 이하 귀농 이유는 농업의 비전ㆍ발전 가능성(39.1%) > 가업 승계(16.7%) > 가족ㆍ친지 가까운 곳에 살기 위해서(15.0%)의 순이었다.

1인 귀농가구 비중도 지속 증가해 2019년 72.4% →2020년 74.1%였다.

또 귀농 초기 무리한 투자보다는 적정규모로 영농을 시작하는 ‘신중한 귀농’ 경향을 보여 귀농가구당 작물 재배면적은 근소한 감소추세를 보여 지난해는 평균 3306㎡로 나타났다.

귀농 5개 상위 시군은 의성, 상주, 고흥, 화순, 임실

지역 중심도시와 접근성 좋은 곳

귀농하는 곳 상위 5개 시군은 의성, 상주, 고흥, 화순, 임실이었으며 분석 결과 동일지역 내 또는 연고지 등 익숙한 곳, 영농 기반 마련이 쉬운 곳으로 귀농하는 경향이 있었다.

예로 귀농 前 거주지를 보면, 의성은 대구(54.5%)ㆍ경북(16.9%)이 전체의 71.4%, 화순은 광주광역시가 78.5%, 임실은 전북이 59.0%를 차지해, 지역의 중심도시와의 거리가 1시간 내외로 접근성이 좋은 곳이었다.

농지가격도 영향을 끼쳐 해당 도 내 평균보다 저렴해 귀농인의 영농 기반 마련이 비교적 용이한 지역으로 조사됐다.

또한, 각 시군별로 다양하고 특색 있는 사업을 개발해 귀농인을 위한 정책 지원이 활발한 곳으로 예를 들어 ▲ (의성) 청년농부 스마트팜 조성 운영, 청년층 유입을 위한 이웃사촌지원센터 설립 운영▲ (상주) 서울시ㆍ농정원 협력 교육시설 ‘서울농장’ 운영 ▲ (고흥) 귀향 청년 대상 농업창업 보조금 지원(1인당 최대 1000만원), ▲ (화순) 전남에서 먼저 살아보기 등의 사업이 있었다.

 

귀촌은 일자리와 주택 확보가 관건
청년은 일자리, 중장년 주택 때문에 귀촌
 

귀촌은 일자리·주택 확보를 위한 귀촌 흐름이 확대됐지만 연령대별로 귀촌 사유에는 차이를 보였다. 귀촌은 일자리·주택 확보를 이유로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촌가구의 전입사유는 직업(34.4%), 주택(26.5), 가족(23.4) 순이었다.

젊은 층일수록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귀촌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주택, 가족의 비중이 상승해 20~30대는 직업>가족>주택의 순이었고 60대는 주택>가족>직업의 순이었다. 반면에 전통적인 농촌지역으로의 귀촌은 직업·주택뿐만 아니라 가족·교통·건강 등의 목적을 가진 귀촌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농식품부는 이번 통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을 계속 추진해 하반기에는 귀농귀촌 통계조사 결과의 흐름과 특성에 맞춰, ▴신중한 귀농을 위한 사전 준비 지원, ▴귀촌인의 다양한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착지 특성을 반영한 지역별 자율 프로그램 지원을 강화할 계획을 밝혔다.

우선 도시민에게 영농교육과 함께 농업 일자리 탐색·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농업 일자리 연계 교육을 지난해 2800명에서 올해는 6000명으로 확대하고,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을 확대해 올해 88개 시군→내년 100개 시군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참가방법은 귀농귀촌누리집(www.returnfarm.com)에서 마을현황 확인과 참가 신청이 가능하다.

귀촌인의 다양한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도 추진해, 현 귀농귀촌누리집을 수요자 중심으로 8월까지 우선 개편해 귀농귀촌 정책·사업의 홍보·접수 중심에서 지역단위 통합정보 제공으로 기능을 확장하고, ‘준비에서 정착’까지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귀농귀촌 통합 플랫폼’ 구축도 2022년까지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제2차(2022~2026년)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을 수립(12월)하고, 중장기적 정책 추진전략 과 신규 추진과제도 마련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언택트, 워라벨, 인구저밀도 지역선호 등 생활양식 변화에 따라 귀농귀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농업·농촌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고자 하는 분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