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EI, 신식품 통계 구축 방안 제시

▲ 코로나로 식품산업의 변화가 가속화되며 이를 뒷받침할 통계 기반이 미약해 새로운 식품에 대한 통계를 효율적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코로나19로 식품산업의 변화 속도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통계 기반이 미약해 변화하는 식품에 대한 통계 구축이 시급하단 주장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은 ‘식품산업 변화에 대응한 식품통계의 효율적 구축 방안’ 연구를 통해 식품제조업에 초점을 맞춰 식품통계의 현황을 진단하고, 식품산업 변화에 대응한 통계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식품산업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2018년 식품제조업 출하액(종사자 10인 이상)은 92조 원으로 2007년 이후 연평균 6.1%씩 증가 추세로 조사됐다. 식품제조업의 업종별 출하액은 기타 식품제조업의 출하액이 전체의 31.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식품산업 성장에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었다. 기타식품제조업에는 다양한 식품분야가 포함돼 있으나 5대 유망식품과 같은 신 식품의 별도 분류는 없었다.

5대 유망식품은 정부가 2019년 발표한 유망 분야로 ▴메디푸드, 고령친화식품, 대체식품, 펫푸드 등 맞춤형·특수식품 ▴기능성 식품 ▴간편식품(밀키트 포함) ▴친환경식품 ▴수출식품이다.

KREI 박미성 연구위원은 “정부가 식품산업 여건 변화에 따라 5대 유망식품 육성을 통한 식품산업 활력 대책을 발표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통계기반이 미약하고 관련 통계도 시의성과 구체성이 떨어져 정책 활용도가 낮은 편”이라며, “식품산업을 둘러싼 여건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신 식품에 대한 통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신 식품 통계 수요조사 결과, 간편식(밀키트 포함), 기능성식품, 고령친화식품, 메디푸드, 대체식품, 펫푸드 순서로 통계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세부 업종 및 품목의 시장규모 파악을 위한 통계정보 요구도가 높았다.

연구진은 식품산업 통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식품통계의 효율적 구축을 위한 추진전략을 제안했다. 이용자 입장에서 기존 생산 통계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기존 통계를 재정비하는 전략과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강화하는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식품산업 변화에 대응한 통계 기반 구축을 위해 통계분류체계를 재정비하는 전략과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통한 통계 확충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