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귀농귀촌 37만7744가구로 역대 최대…귀농귀촌 흐름 견고

▲ 귀농귀촌청년박람회, 귀농귀촌농업박람회를 비롯해 귀농귀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박람회에 청년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인 귀농가구 비중 증가…겸업하며 ‘신중한 귀농’
청년농 증가, 청년농영농정착지원사업 성과 반영

2021년 귀농귀촌 인구는 51만5434명으로 전년대비 4.2% 증가하며, 2020년에 이어 2년 연속 증가했다. 귀농귀촌 가구는 37만7744가구로 전년 대비 5.6% 증가하며, 귀농귀촌 통계조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구 수로는 역대 최대치이나, 평균 가구원수는 2017년 1.49명에서 2021년 1.36명으로 계속 감소했다.

전 연령대에서 귀농귀촌 가구가 증가했으며, 특히 30대 이하 및 60대 귀농귀촌 가구는 전년에 비해 각각 5.0%, 16.4% 증가하며 큰 폭으로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30대 이하 귀농귀촌 인구는 23만5904명으로 전체의 45.8%를 차지하며 2021년에도 귀농귀촌 흐름을 주도했다.

귀농귀촌 인구 증가 이유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저밀도 농촌생활에 대한 관심 증가, 사회·경제적 여파, 도시주택 가격 상승 등의 복합적 원인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도시민의 귀농귀촌 의향 조사’ 결과도 2019년 말 34.6%에서 2020년 말에는 41.4%로 6.8%p 증가했다.

통계청의 2021년의 국내 인구이동량(국내 인구이동통계)은 721만 명으로 2020년의 773만 명에 비해 52만 명, 7%감소했음에도 귀농귀촌 증가세가 유지된 것은 농촌으로의 이주 흐름이 견고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귀농은 30대 이하와 60대 귀농이 큰 폭 증가했다.
30대 이하는 2020년 1362가구에서 지난해 1507가구로 10.6% 늘었다. 60대는 2020년 4060가구에서 지난해 5160가구로 27.1% 증가했다. 30대 이하 귀농인은 2017년 1340명 → 2018년 1365명 →2019년 1212명 → 2020년 1370 명→ 2021년 1522명으로 지난해 최대치를 기록했다.

청년농 증가는 청년들의 농촌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3년간 월 최대 1백만 원씩을 지급하는 영농정착지원사업의 정책성과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60대의 귀농 증가는 도시 거주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본격적인 은퇴가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2021년 귀농실태조사 결과 30대 이하의 귀농이유는 첫째가 농업 비전·발전가능성 26.4%, 다음으로 가업승계 26.2%의 순이었다.

1인 가구의 비중은 지속 증가해 2017년 65,2%에서 지난해 74.5%로 늘었다. 귀농 초기 무리한 투자보다는 적정규모로 영농을 시작하고, 겸업을 선택하는 ‘신중한 귀농’ 경향을 보여 귀농 가구당 작물 재배면적은 감소세다.

귀농 상위 시·군은 의성, 고흥, 상주, 영천, 양평
귀농인이 많은 상위 5개 시군은 의성(229명), 고흥(224명), 상주(212명), 영천(182명), 양평(173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동일권역 내 또는 연고지 등 익숙한 곳 ▴영농 기반 마련이 쉬운 곳 ▴시군의 정책 지원이 활발한 곳의 귀농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지역으로 전입한 귀농인의 前거주지를 보면 인근의 대도시 또는 동일권역이 가장 많았다. 의성의 경우 대구와 경북이 각각 53.4%, 18.5%로 전체의 71.9%를 차지했다. 해당 시군의 농지가격도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저렴해 영농 기반 마련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용이했다.

일자리·주거 확보 위한 귀촌 흐름 지속
귀촌은 일자리·주거 확보를 위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주택을 귀촌 사유로 선택한 비율은 전년보다 0.6%p 증가했다. 귀촌 이유는 직업 34.3%, 주택 27.1%, 가족 22.2%, 자연환경 4.9%순이었다.

젊은 층일수록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귀촌하는 경향을 보이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귀촌 동기에서 일자리의 비중은 작아지고 주택을 고려하는 비중이 상승했다.

전반적으로는 기반이 갖춰진 대도시 근처 시군의 귀촌 유입이 우세한 경향이었다. 비수도권 시군에서도 귀촌이 증가했다.

정부는 이번 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추진하고 있다.

우선 체계적인 귀농귀촌 준비 지원을 위해 농업·농촌의 일자리 경험, 모의 실행 체험을 제공하는 기회를 확대한다. 농촌생활을 사전에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농촌에서 살아보기’프로그램, 도시민에게 영농교육과 함께 농업 일자리 탐색·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농업 일자리 탐색형 교육’ 규모를 확대한다.

농촌에서 살아보기는 지난해 88개 시군, 104개 마을에서 올해는 95개 시군 119개 마을에서 실시한다. 농업 일자리 탐색형 교육은 지난해 6100명에서 올해 6200명으로 확대한다.

청년 귀농인이 안심하고 농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영농정착지원금 지원도 지난해 1800명에서 올해 2천명으로 늘리고, 청년농의 준비-창업-성장 전 과정을 지원하는 ‘제1차(2023~2027) 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을 올해 하반기에 수립할 예정이다.

‘귀농귀촌 통합플랫폼’ 구축으로 ‘준비에서 정착’까지 전 과정에 필요한 정보·서비스를 일괄로 지원한다. 각 부처·지자체의 정책, 농지·주거, 일자리 등 광범위한 정보·서비스를 관계 기관 시스템과 연계해 통합 제공한다는 계획으로 올해 시범서비스를 오픈해 내년 본격 운영하게 된다.

농촌공간계획제도 도입과 농촌재생프로젝트를 통해 생활 기반, 쾌적한 주거 여건을 갖춘 농촌 공간을 조성한다. 올해에 농촌재생프로젝트 신규 지원대상 21개 생활권을 추가 선정하고, 공간 정비와 주거·정주 여건 개선 사업을 2022년 누적 53개소를 지원한다.

농식품부 정현출 농업정책국장은 “이번 귀농귀촌 통계조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필요한 정책을 보완해 나가겠다”며, “최근 농업·농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귀농귀촌을 희망자들이 체계적으로 준비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정책적으로 적극 뒷받침해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