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 -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좌승희 이사장

고 박정희 대통령이 집권을 시작한 1961년 전후의 우리나라 국민소득은 67불에 불과한 세계 최빈국이었다. 이런 나라를 박 대통령은 근면·자조·협동 정신의 새마을운동을 주도해 오늘날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의 기반을 닦아냈다. 새마을운동의 성공은 스스로 잘살아 보자는 ‘자조정신’을 바탕으로 마을과 기업에게 인센티브를 차별 지원했었기에 가능했다. 2019년, 놀랍게도 노벨상 심의위원회는 각기 다른 마을에 제공한 차별적인 보상이 어떻게 다른 효과를 가져오는지를 규명한 미국의 3인 교수에게 노벨경제학상을 수여했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 원리가 우리의 ‘새마을운동’의 축소판이라는 점이다.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으로 대안적 경제성장과 발전이론을 연구해오고 있는 경제학자인 좌승희 박사를 만나 고 박정희 대통령이 창시하고 주도한 새마을운동의 원리와 업적에 대해 알아봤다.

 

새마을운동의 ‘자조’ 정신 실천한
마을 우대지원했던 새마을운동이
진정한 노벨경제학상 수상감...

경북 청도 신도리마을의
자조적 마을환경 개선에서 시작

“고 박정희 대통령이 집권한 1961년 전후에는 3~5월 보릿고개가 되면 신문 사회면에 굶는 사람의 딱한 모습을 스케치한 르포기사가 실리곤 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이런 참혹한 가난을 벗어나려고 재건국민운동을 펼쳤지만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어요. ‘어떻게 하면 잘 살 수가 있을까’ 골똘하다가 농어민 소득증대사업으로 성공을 거둔 농민을 1969년 시민회관(현 세종문화회관)으로 불러 TV 중계로 발표대회를 개최했었지요. 이때 대통령 부부가 함께 행사장에 참석해 사례발표자의 성공담을 들었는데, 힘든 농사를 감내하며 성공을 거둔 얘기에 감동한 대통령이 손수건으로 눈물을 훔치는 광경이 전국에 중계됐어요.”

이런 각고의 노력에도 손에 잡히는 성과를 거두질 못했다. 그러던 중 1969년 8월3일 박 대통령은 경남·북 지역 수해현장 시찰을 위해 기차로 내려가던 도중 경북 청도군 신도리마을을 지날 즈음 차창 밖으로 보이는 마을이 수해복구뿐만이 아니라 마을길이 넓혀져 있고 지붕 개량과 생활환경이 말끔히 돼 있는 것을 보고 기차를 세운 뒤 마을을 찾아갔다. 마을주민과 얘기를 나눠보니 주민들의 자발적인 자조정신과 협동심으로 이런 환경개선을 이뤄낸 것에 큰 감동을 받았다.
이후 박 대통령은 농민을 일깨워 농촌을 발전시키려면 자조와 협동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고심 끝에 창안한 것이 ‘새마을운동’이다.

스스로 노력·협동하는 마을
차별적 지원으로 1971년 시작

박 대통령이 제창한 새마을운동 중 특히 흥미로운 것은 정부의 지원정책이다. 그 첫째 기본 추진원칙이 ‘자조(自助)’하는 마을에 대한 차별적인 우대지원이었다. 즉 스스로 노력하고 협동하는 마을은 정부가 적극 돕되, 반대로 노력을 하지 않거나 협동하지 않는 마을은 돕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두 번째는 철저한 정치성 배제였다. 누구를 막론하고 새마을운동을 정치적으로 이용해서 안 되고 주민 주도의 순수한 국민운동으로 추진하겠다는 다짐이었다.

새마을운동 추진과제는 마을안길 조성과 초가집 개량, 하천 제방 쌓기, 마을회관 건립, 상하수도 개선 등 14개 과제였다. 새마을운동 추진은 1급 기초마을 조성(1971~1973년), 2급 자조마을 조성(1974~1976년), 3급 자립마을 완성(1977~1981년) 등 3단계로 추진됐다. 1981년 전국 3만5천 전 마을을 3급 자립마을로 조성한다는 목표로 새마을운동이 추진됐는데, 그 목표가 달성되면 농가당 소득이 140만 원이 되는 것이었다.

“새마을운동 1차 기간인 1970년 10월부터 1973년 3월까지의 사업으로 전국 3만5000여 개 마을당 시멘트 375포대가 무상으로 지원됐습니다. 1973년 3월에 1차 기간 사업이 끝나고 성과 평가를 해보니, 1만6000개 마을만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2차 자조마을 조성을 위해 시멘트 500포대와 철근 1톤을 포상으로 지원했는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마을들은 지원을 받지 못했습니다. 지원이 끊긴 마을에 대해서는 근대화에 낙오된다는 절박감과 경쟁심을 주입해 주민들이 자조적으로 2급 자조마을로 진급하도록 독려했습니다.”

2급 자조마을에서 3급 자립마을로 진급시키려 마을당 시멘트 500포대와 철근 1톤, 현금 100만 원을 포상으로 지원해 3급 자립마을을 완성토록 했다. 이런 차별적인 포상지원에 따라 새마을운동의 불길은 전국으로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차별적 지원을 기업에도 적용
지금의 3만불 소득 초석 닦아

한편, 고 박정희 대통령은 고용 확대와 국부 증진을 위해 대기업들의 중공업 진출도 독려했다. 여기에도 새마을운동의 원리에 입각한 성과위주의 차별 지원정책을 과감히 펼쳐 자조정신이 기업에 스며들게 했다. 성과를 거둔 기업에겐 ‘수출의 날’ 포상과 함께 다양한 지원을 했다. 3만 불 소득의 초석이 그 당시에 만들어진 것이다.

좌승희 박사는 이어 다음과 같은 얘기를 들려줬다.
“선진국이 과거 식민지배를 했던 빈국에 많은 지원을 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한 원인이 무엇인지를 찾고자 했어요. 이에 세계적인 행동경제학자인 미국의 아비지트 배너지, 에스더 듀플로, 마이클 크레이머 등 3명의 교수가 우연히 박 대통령이 추진했던 새마을운동의 축소판과도 같은 ‘자조’ 마을에 대한 차별지원의 효과를 실험하게 됐지요. 인도 부락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자조적인 아동집단에 대한 우대보상이 성과가 있음을 밝혀내 2019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것이죠. 이들의 수상으로 새마을운동의 ‘자조’에 대한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과 새마을운동이 순수 한국산임이 입증됐다고 봅니다.

새마을운동 추진된 지 51년이 된 지금, 정부는 새마을운동 교관을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 빈국으로 파견해 전 세계에 널리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 주민을 구원하기 위해서도 새마을운동을 북한에 보급해 남북 공동번영의 길을 찾는 일을 서둘러야 합니다.”
한편, 좌승희 박사는 지난 연말 명쾌한 논리로 ‘새마을운동 왜 노벨상 감인가’라는 책을 펴냈다. 이 책을 통해 오늘의 발전을 이끌어 낸 새마을운동의 본질과 원리를 살펴 또 다른 성장 다짐의 계기가 됐으면 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