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지친 도시민들 농촌행 관심 폭증
정주여건 개선과 맞춤형 지원정책 뒷받침돼야

최근 몇 년간 하향세를 보이던 귀농귀촌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다시 상승곡선을 그릴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귀농가구는 2017년 1만2630가구에서 2018년 1만1961가구, 2019년 1만1422가구로 매년 감소해왔고, 귀촌가구도 2017년 33만4129가구에서 2018년 32만8343가구, 2019년 31만7660가구로 지속 줄어들어왔다.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로 귀농귀촌 잠재수요층이 확대됐지만, 귀농귀촌 추세가 한풀 꺾인 게 아니냐는 목소리와 함께 새로운 동력과 당근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었다.

한편, 지난해 초 국내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해 1년을 넘도록 그 확산세가 여전하면서 3차 대유행의 위기까지 치달았다. 다행히도 정부의 강력한 방역지침 시행으로 인해 그 기세가 꺾이는 듯하고, 다음 달부터는 백신접종을 시작할 계획이라는 발표에 국민들이 다소 안정감을 찾아가고 있는 분위기다. 그렇지만 언제 종식될지 모르고, 어쩌면 영원히 코로나19와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경고는 국민들이 코로나19의 불안감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한다. 이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협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저밀도사회인 농촌에 대한 도시민들의 동경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20 농업·농촌 국민의식조사’를 보먼 도시민 41.4%가 은퇴 후 귀농귀촌 의향이 있다고 응답해 전년보다 6.8% 증가했다. 정부가 운영하는 귀농귀촌 누리집 방문자 수도 지난해 299만 명으로 전년보다 44%나 늘어 귀농귀촌에 대한 높아진 관심도를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귀농귀촌 수요를 고스란히 받아들이기에는 아직 우리 농촌의 정주여건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게 현실이다. 막연한 동경과 도피성 귀농귀촌은 풍족한 문화적·복지적 혜택을 누려온 도시민들에게 또 다른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가 될 수도 있다.

이에 정부는 코로나시대, 새로운 귀농귀촌 희망자들이 안정적으로 농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을 귀농 중심에서 귀촌 중심으로 전환하고, 교육·박람회 등 간접체험이 아닌 장기간 관심 지역에서 살아보기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기조를 바꾸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귀농귀촌 예산을 전년보다 68.5% 증액한 342억 원으로 편성했으며,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통한 밀도 높은 농촌생활 경험 지원, 귀농귀촌 수요자 맞춤형 정보제공 기능 강화, 일자리 탐색형 귀농귀촌 교육과정 확대 제공, 제2차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 수립 등의 과제를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 자연과 농촌에서 여유롭고 자유스러운 생활을 하는 이들을 소개하는 TV 프로그램이 자주 방영되며 도시민들의 귀농귀촌 관심에 불을 붙이고 있다. 하지만 그들이 귀농귀촌인 모두를 대변한다고는 할 수 없다. 그들의 단편적인 모습으로 귀농귀촌 생활 전체를 판단해서는 안 된다. 농촌에서의 삶에 얼마나 자연스럽게 녹아들고, 지역민들과 소통하며 그 동안 누려온 도시에서의 각종 혜택들을 과감히 내려놓을 수 있느냐가 귀농귀촌의 성공열쇠다. 농촌스러움을 유지하면서 농촌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함은 기본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