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세시풍속 -민족 대명절 ‘설날’ 이야기

 

가정·마을 안녕 기원하는 민속놀이 다양
세속 벗어난 공동체 결속 미풍양속 계속

 

민족 최대의 명절 설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우리나라 4대 명절 중 으뜸이 바로 ‘설’ 명절이다. 본래 설날은 조상 숭배와 효(孝)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먼저 간 조상신과 자손이 함께 하는 아주 신성한 시간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음력 정월 초하룻날, 설날은 잘 익지 못한 것을 가리킬 때 쓰는 ‘설다’는 말과 ‘삼가다’는 뜻으로 쓰이는 ‘섧다’에서 유래된 말이기도 하다. 즉 설날은 낮선 곳에 있을 때처럼 몸과 마음가짐을 삼가고 조심하라는 뜻이 담겨 있다. 한해를 시작하는 첫날, 바깥출입도 함부로 하지 않고 한 해 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내기를 신에게 빌어 왔다. 설날이 가지는 의미는 단순히 명절임을 나타내는 것보다 문화를 나누고 공동체를 형성하는 그 이상의 기능과 의미를 가진다.


소원 담긴 설맞이 놀이
설 명절의 대표적 놀이로는 윷놀이와 널뛰기, 연 날리기, 썰매타기, 팽이치기, 바람개비놀이, 쥐불놀이 등이 있다. 마을사람들이 모두 모여서 하는 놀이로는 풍물굿이 전국에서 행해졌으며, 지신밟기, 석전(石戰), 차전놀이 등이 있다. 이런 놀이는 정월대보름까지 이어지며 우리나라 전통문화로 정착돼 왔다.
세월이 흘러 설날 풍습도 많이 달라지고 있다. 연날리기, 지신밟기 등 놀이문화는 변했지만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이날만큼은 가족마다 한해 소원을 빌고 새해 시작을 축원한다.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찾아 귀향길에 오르고 가족과 함께 조상께 차례를 지내고 부모님께 세배를 한다. 세속적 생활에서 벗어나 가족의 공동체를 더욱 결속시키는 미풍양속은 아직도 지속되고 있다.

 

세월 따라 전해오는 세시풍속
예로부터 우리나라 설날 세시풍속은 농경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각별히 금기에 관련된 행사와 운수나 농사의 풍흉을 알아보는 점복 행위가 많았다. 대표적인 세시풍속은 차례, 세배, 설빔, 덕담, 문안비, 설 그림, 복조리 걸기, 야광귀 쫓기, 청참, 머리카락 태우기 등 그 종류가 상당히 다양하다.


▶세배= 설날 차례를 마친 뒤 조부모·부모에게 절하고 새해 인사를 올리며,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절하는 것을 세배라 한다.
세배가 끝나면 차례를 지낸 설음식으로 아침식사를 마친 뒤에 일가친척과 이웃 어른들을 찾아가서 세배를 드린다. 세배하러 온 사람이 어른일 때에는 술과 음식을 내어놓는 것이 관례이나, 아이들에게는 술을 주지 않고 세뱃돈과 떡, 과일 등을 준다.


▶오행점과 원일소발= 나무에 오행인 금, 목, 수, 화, 토를 새겨 장기 쪽 같이 만들어 이것을 던져서 나온 것을 보아 점괘를 얻어 새해의 신수를 점쳤는데 이를 ‘오행점’이라 했다. 또 원일소발은 지난 1년간 빗질할 때 빠진 머리카락을 모아 상자 안에 넣어 두었다가 설날 저녁에 문 밖에서 태우는 풍습이다. 머리카락을 태울 때 나는 냄새로 악귀나 나쁜 병을 물리친다는 미신이 있다.


▶복조리
= 설날 이른 아침 또는 섣달 그믐날 밤 자정이 지나서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어 엮어서 만든 조리를 벽에 걸어 두는 습속이 있는데 이를 복조리라고 한다. 이러한 풍속은 조리가 쌀을 이는 기구이므로 그해의 행운을 조리로 일어 취한다는 뜻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설날에 1년 동안 사용할 조리를 그 수량대로 사서 방 한쪽 구석이나 대청 한 귀퉁이에 걸어 두고 하나씩 사용 하 면 1년 동안 복이 많이 들어온다는 민간 신앙도 있다. 


▶야광귀 쫓기= 설날 밤에 야광(夜光)이라는 귀신이 인가에 들어와 사람들의 신을 신어 보고 자기 발에 맞으면 신고 간다는 속설이 있는데, 만일 신을 잃어버리면 신 임자는 그해 운수가 나쁘다고 한다. 이날 밤에는 모두 불을 끄고 일찍 자는데 야광귀를 막기 위해 대문 위에다 체를 걸어 둔다. 이것은 야광귀가 와서 체의 구멍을 세어 보다가 잘못 세어 다시 또 세고, 세고 하다가 신을 신어 보는 것을 잊어버리고 새벽닭이 울면 물러가게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