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동 시인․칼럼니스트

"ASF으로부터 안전한 곳이 없다.
농가는 철저한 차단방역을,
지자체는 행정력을 총동원해
유입 차단에 사활을 걸어야...

기민한 대응이 방역고삐 죈다
하루빨리 효과적인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돼 ASF 근절에 힘되길..."

▲ 김훈동 시인․칼럼니스트

우려하던 돼지 흑사병으로 불리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1년여 만에 강원 화천군의 사육돼지에서 재발했다. 인근 농장에서도 나타나 바짝 긴장하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바이러스성 동물전염병이다. 사육돼지는 감염시 폐사율이 100%에 이른다. 발병 인접지역으로 확산되는 걸 막는 게 급선무다. 자칫하다 양돈산업 기반붕괴와 지역경제에 미칠 파장이 커질 수 있다. 해당 농장과 인근 10㎞이내 양돈농장의 돼지를 모두 살처분하고 소독을 강화했다. 경기 북부의 최대 양돈단지인 포천의 양돈농장에서도 살처분했다. 해당 농장주가 화천 양돈농장을 함께 운영하기 때문이다. 선제적 예방차원에서다.

감염경로가 야생멧돼지다. 첫 발생 양돈장은 야산 자락과 인접해 있어 야생멧돼지가 자주 출몰하는 곳이다. 환경부의 야생멧돼지 관리가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매개체인 야생멧돼지 대응 수위를 높여가야 한다.

걱정되는 것은 곧 야생멧돼지 가을 번식기 이동이 활발해지는 때라는 점이다. 보통 11월에서 이듬해 1월까지 번식활동에 나선다. 이 기간엔 교미나 먹이활동을 위해 이동이 활발해진다. ASF 바이러스가 돼지농장에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철저히 통제하지 않으면 빠르게 확산된다. 유입 가능성이 될 만한 불법축산물 국내 유입도 감시하고 사육돼지의 감염여부를 신속하게 모니터링 해야 한다. 속도가 중요하다. 농장 방역에 조금이라도 느슨해지면 안 된다. 야생멧돼지를 막지 못하면 바이러스는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총기포획을 활성화하고 야생멧돼지 개체수를 줄여야 한다. 야생멧돼지 퇴치는 환경부가 맡고 있다. 이원화된 정부부처 방역업무를 농림축산식품부로 일원화해 방역 효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국내외에서 ASF 백신개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뚜렷한 치료법과 예방백신이 없어 걱정이다. 1차적으로 원칙에 충실한 방역이 중요한 이유다. 양돈농가는 스스로 방역지침을 엄격히 준수하고 정부와 지자체와 함께 공동방역에 나서길 바란다.

감염돼지는 도축장에서도 발견됐다. 출하 전 검사에서 감염 개체가 걸러지지 않은 경우다.  무작위 표본 모니터링 검사방식의 한계가 드러난 듯하다. 검사방식의 보완이 필요하다.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해 체온이 높은 돼지를 중심으로 검사하거나 수의사가 임상 진단을 통해 감염의심 돼지를 선정하는 방식이 그 예다. 분명한 건 우리나라에 ASF 바이러스는 아직도 살아있고 전파되고 있어 완전히 박멸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국가적 재난이 되지 않도록 다각적으로 방역의 구멍은 없는지 꼼꼼히 살펴야 하는 이유다.

강력한 방역과 함께 피해 양돈농가 지원도 시급하다. 지난해 예방적 살처분, 수매 등에 참여한 후 1년여 간 재입식에 희망을 걸었다. 하지만 재발로 재입식을 하지 못하는 농가들이 생계위협을 받게 됐다. 피해농가들은 추가로 발생돼지 않으면 11월에 재입식 절차가 재개될 수 있길 바라지만 쉽지 않을듯해 걱정이다. 사전 방역시설 평가와 양돈장 및 주변 환경평가를 통과해 이달 재입식을 눈앞에 둔 농가는 또다시 기약 없는 기다림을 마주하게 됐다. 정부는 피해농가에 지원하는 살처분 보상비와 생계안정자금의 현실화를 시켜줘야 마땅하다. 접경지역은 ASF으로부터 안전한 곳이 없다. 농가는 철저한 차단방역에 나서고 각 지자체는 행정력을 총동원해 유입 차단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기민한 대응만이 바짝 방역 고삐를 죌 수 있다. 하루빨리 효과적인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돼 ASF의 근절에 큰 힘이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