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연재 - FTA시대 우리농업, 여성의 힘으로 지킨다

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시대엔 희망과 불안이 동시에 존재한다.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제여건상 전자 ․ 자동차 ․ 반도체 산업은 FTA에 따른 수출 증대 등이 기회요인으로 희망이 되겠지만, 산업기반이 약하고 고령화된 한국 농업은 농산물 수입 개방화에 대한 불안감을 떨쳐내기 힘들어 FTA의 희생양이란 소리를 듣는다. 하지만 국내 농업도 세계화 개방화의 거스를 수 없는 환경변화 속에서 국내 농식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자구책을 강구해야 하는 큰 과제와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에 농촌여성신문은 농림축산식품부와 공동으로 FTA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생각하고 FTA를 활용해 국내산 농식품과 가공품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도전하고 성과를 이뤄낸 선도 여성농업인들, 또 FTA에 대응해 국내산 농산물 소비촉진에 힘쓰며 우리 농식품의 경쟁력 향상에 앞장서는 여성농업인들의 활약을 10회 시리즈로 소개해 여성농업인들이 FTA시대를 슬기롭고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⑦ 경남 합천 가야산 별빛농장

▲ 무럭무럭 자라라~ 거대 유리온실에선 파프리카가 아름드리 빽빽하게 자라난다. 빨강·노랑 파프리카색 의상의 가야산별빛농장 이현주 대표

1993년 첫 보급…신선농산물 수출 1위 급부상
올 8월 영상검역 마치고 중국 첫 수출길에 올라

 

# 농가 협력으로 품질 향상
우리나라 파프리카 총 재배면적은 약 700ha로 그 중 475ha가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다. 연간 8만1000톤이 생산됐으며(2019년 기준) 그 중 약 3만5280톤(43.5%)을 수출하고 있다. 국내 신선농산물 수출 1위는 파프리카이며 수출 1억 불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파프리카 개별 생산자들은 조합법인이나 생산자협의회 같은 전문 생산단지를 만들어 공동으로 품질 향상, 전문기술 보급 등을 통해 제품의 품질과 경쟁력을 높인다. 현재 전문 생산단지에 389농가가 가입돼 있다. 같은 단지에서 나온 상품들은 공동 브랜드로 산지 유통업체나 지역 농협의 공동 선별장으로 보내져 출하된다.

전북 남원은 고랭지 지역이어서 여름 작형 파프리카를 재배한다. 여름 작형은 보통 1월에 파종해 5월에 꽃이 피고 이후 70일 가량 지나면 파프리카가 열려 수확할 수 있다. 경남 진주·함안, 전남 화순·영광 등은 겨울 작형으로 7~월에 파종해 11월에서 다음 해 7월까지 수확한다. 이렇듯 연중 수출이 가능한 파프리카는 1993년부터 국내에 보급돼 그 역사가 길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생산자의 노력과 체계적인 지원으로 단시간내에 수출 효자 작목이 되고 있다.

# 일본 수출이 99%
현재 파프리카 수출량의 99% 이상이 일본에 집중돼 있다. 일본에서 한국산 파프리카는 2001년부터 경쟁국인 네덜란드와 뉴질랜드를 누르고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일본내 한국산 파프리카 점유율은 85%에 이르고 있다. 철저한 관리로 6년 연속 일본 수출상품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된 사례가 없는데다가 품질도 네덜란드산 파프리카에 근접하고 있고 가격경쟁력도 있어 일본 내 판로는 탄탄대로다.

하지만 최근 한국산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일본의 수입산 파프리카 시장에 캐나다산 파프리카의 수출 급증과 멕시코산 파프리카의 일본 진출이라는 새로운 걸림돌이 등장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한국산과 캐나다산 파프리카에 3%의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지만 멕시코산 파프리카의 경우 FTA를 통해 무관세를 적용하고 있어 일본이 수입을 시작하면 높은 가격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만반의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 한·중 검역 협상 타결
우리 농산물 수출이 FTA 여파로 다소 주춤할 때 파프리카는 매년 지속적인 수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수출증가세를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중국이나 베트남 등 새로운 시장과 소비자를 공세적으로 개척해야 한다.

올 8월 우리나라는  중국 해관총서와 한국 농림축산검역본부, 파프리카 선별장을 화상으로 동시에 3원 연결해 영상 현지검역을 무사히 통과하고 한국산 파프리카 820kg을 부산항에서 천진항을 통해 중국 베이징으로 첫 수출 완료했다. 앞으로 중국내 프리미엄 유통매장을 공략해 고품질·안전성 이미지를 구축해 다양한 홍보 마케팅 활동을 통한 건강한 생식문화 확산으로 한국산 파프리카 수출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 국산 파프리카의 베트남 수출을 위한 검역요건 협상도 완료돼 조만간 베트남 수출길도 열린다. 검역본부는 업계의 요청에 따라 2008년부터 베트남과 검역 협상을 추진해 약 12년 만에 협상을 최근 마무리지었다.
국산 파프리카가 중국·베트남 시장에 새롭게 진출할 수 있게 되면서 그동안 일본에 편중된 수출시장을 넓힐 발판이 마련되고 있다.

 

400m 고지 청정지역 파프리카로 승부한다

“과육이 두껍고 아삭한
 가야산 여신의 파프리카 맛보세요”

▲ 올 해 중국으로 첫 수출한 파프리카 제품

# 가야산 산꼭대기 유리 온실 농장
가야산 별빛농장(경남 합천)의 파프리카 온실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규모 이상이다. 파프리카는 나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키가 엄청나게 큰데 1만9800㎡(6천 평)의 거대한 유리온실에 빽빽이 자라고 있는 파프리카는 거대했다. 꽃도 예쁘고 열매일 때도 예쁜 파프리카를 해발 400m 고지 청정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는 ‘가야산 별빛 농장’의 이현주 대표는 일명 ‘가야산 여신’으로 통한다.

“연간 300톤의 물량으로 12억 원 정도의 매출을 올리고 있어요. 하지만 파프리카는 초기 자본이 많이 투입되고 경영비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매출에 비해서 많이 남는 편은 아니에요. 수출은 대부분 일본으로 하고 있고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와 농업회사법인코파주식회사를 통해 수출거래 동향과 정보, 보조지원을 받고 있어 수출이 별다른 어려움은 없어요.”라고 말하는 이현주 대표는 도시생활을 하다가 가야산으로 들어가 농업생활을 한 귀농인이다.

그런 그가 왜 파프리카를 주 작목으로 선정하게 됐을까 궁금해진다. 이 대표는 “처음 재배종목을 선정할 때 셰프들이 찾아오는 유럽채소정원을 만들까 생각했었고 그 중 첫 번째 작물이 파프리카였어요. 하지만 파프리카를 많이 키우다 보니 점점 확장돼 이제는 파프리카가 주 작목이 됐어요”라며 “처음 파프리카 재배 일은 농약부터 천적재배, 스마트팜 시설까지 모든 것이 힘들었다. 꾸준한 농업컨설팅과 상담 교육 등으로 하나하나 익혀서 시작했고 이제는 잘 자라준 파프리카나무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고 말한다.

▲ 파프리카쥬스, 파프리카소금과 빵까지… 다양한 가공품들

# 파프리카 가공품으로 사업 확장
가야산 파프리카 농장은 400m 임야를 개발해 최적의 일조량과 최첨단 스마트팜으로 과육이 두껍고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이 대표의 남편이 직접 설계한 유리온실은 제어장치를 통해 겨울에도 온도와 습도를 잘 조절해 과육두께가 10~12mm정도로 자라 마트에 판매되는 5mm 파프리카보다 더 아삭하다.

가야산 별빛농장은 카페처럼 아름답게 꾸며져있다. 카페에서 다양한 파프리카 가공식품을 만나 볼 수 있다. 비가열 착즙 방식의 파프리카 주스 ‘수작’은 과육이 두꺼운 별빛농장 파프리카를 4색 고루 착즙해 영양소 파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만든 순수 액상음료다.
이외에도 파프리카를 이용한 빵과 파프리카소금까지 다양한 파프리카 가공품이 즐비하다. 가야산 별빛농장의 모든 신선농산물들은 ‘자연미행(自然美行)’ ‘BAT-RO’란 자체브랜드를 달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직접 소비자에게 다가간다.

# ‘중년여성농업인CEO연합회’ 회장 맡기도
지금은 파프리카 전문가가 됐지만 사업초기부터 이현주 대표가 겪은 시행착오는 만만치가 않았다.
“농장 짓고 유리온실만 설치해 놓으면 다 되는 줄 알았어요. 도시에서는 돈을 투자해 기술을 개발하고 제품을 만들어 팔면 그래도 돈이 모이는데 농촌에서는 그런 것이 통하지 않더라고요. 농촌에서 필요한건 시간과 정성이더라고요.”

그때의 깨달음으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 할 능력이 생긴 이현주 대표는 ‘중년여성농업인CEO연합회’를 만들어 여성농업인의 고충을 해결해 주고 있기도 하다.
여성농업인으로서 농업 수출과 관련해 전문성을 갖추고 자기만의 정체성과 경쟁력을 갖게 하기 위해 FTA관련 교육도 주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수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이 중요한데 농촌에 살면서 교육을 받을 기회가 없잖아요. FTA 파고를 넘기 위해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상품화 준비중인데 첫 가공식품 수출이라 애로사항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년여성CEO들의 뚝심으로 이를 넘어 볼 생각입니다.” 이현주 대표의 각오가 새롭다.

 

■ 모든 파프리카 수출은‘코파’를 통해 - 코파 송윤대 대표이사

수출창구 일원화로 가격·물량 조절

농업회사법인 코파주식회사(이하 ‘코파’)는 한국 파프리카 수출 99% 이상을 선도하고 있는 생산자와 수출자가 공동으로 설립한 통합수출마케팅 조직이다.  2012년 1월에 설립·운영 됐으며, 2018년 3월부터 농식품부 수출통합조직 육성업에 참여하고 있다.

- 파프리카가 FTA파고를 넘는데 ‘코파’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
무엇보다 국내 업체 간 과당경쟁을 방지하고  시장확대를 위해 창구를 일원화해 가격·물량을 철저히 조절하고 있다. 생산자-코파-수출업체가 상호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고, 품종선택부터 재배, 수확, 선별, 포장, 수출, 농약안전성,품질관리, 농가 교육, 공동 정산, 공동 마케팅, R&D 등의 전 과정을 일관되게 수행함으로써 한국산 파프리카의 경쟁력을 높이고 나아가 한국 파프리카 수출 확대를 선도해 나가고 있다.

 한국산 파프리카의 ‘마케팅 보드(Marketing Board)’ 역할로 해외시장 수출주도권을 확보하고 수출물량 확대, 가격경쟁력 우위, 신시장 개척 등 대외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통한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또 농약 안전성 위반사고 ‘zero’화 유지를 위해 생산농가와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안전성 교육을 수시로 실시해 8년 연속 통관단계 농약 안전성 위반사고 무사고를 유지하고 있다.

- 최근 중국 수출의 길이 열렸다.
영상현지 검역이 극적으로 이뤄져 가능해졌다. 중국 파프리카 시장은 대도시 시장, 호텔, 유통업체, 식당으로 판매돼 중추철(8~9월)보다는 춘절(1~2월) 수요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생식보다는 볶음용으로 주요 사용되며 구색 재료로 활용된다. 중국내 프리미엄 유통매장 공략을 통한 고품질·안전성 이미지를 구축해 드라마, 셰프 등을 통한 건강한 생식 문화확산으로 국내산 파프리카 수출을 끌어 올릴 계획이다.

경험상 수출은 한 번 물꼬를 트는 것이 어렵지 한 번 트게 되면 걷잡을 수 없이 붐이 일어나는 경우도 많이 봐 왔다. 그동안 일본시장은 포화상태였다. 계속 9200만불 근처에서 제자리걸음하고 있는 파프리카 수출액이 이번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1억불 달성의 오랜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농림축산식품부·농촌여성신문 공동기획)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