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일 심농(心農)교육원 원장

"이번 명절에는
비록 고향에 못가더라도,
조상께 먼저 감사함을 전하는
 우리민족 고유 풍습의
소중함을 새삼 느끼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

▲ 박영일 심농(心農)교육원 원장

이제 추석이 코앞이다. 우리 민족의 최대명절이기도 하다. 그런데 코로나로 추석을 맞이하는 풍속도는 그동안 관습과는 판이하게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가 전통문화영역의 삶까지 방해하고 있다. 최고의 방역은 역시 사람과의 접촉을 최대한 줄이자는 것. 즐겁고 풍성하게 맞이해야 할 추석명절이 올해는 고향에 안 가는 게 효도란 사상 초유의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귀성을 환영하던 전국 각지의 동네 입구의 추석 현수막 문구가 올핸 고향 방문을 자제해달라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코로나가 급기야 민족대이동까지 막은 셈이다.
대신 서로 오가고는 못하지만 디지털시대에 여느 때와 다른 한가위 맞아 진풍경을 보여주기도 하고 있다. 이를테면 고향에 계신 부모님들은 멀리 사는 자식들에게 이번 추석엔 귀성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말과 함께 얼굴모습과 영상편지를 담아 보내주기도 한다.

이런 영상제작은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특색사업으로 추진하고 있기도 하다. 부모님들이 자녀들을 보고 싶은 마음이야 간절하겠지만, 추석에 못 오는 자녀들의 마음이 불편하지 않도록 미리 안심시키려는 애틋한 심정이 가득 담겼다. 물론 명절 때면 학수고대하던 자식과 손자들을 못 보는 부모님의 상실감은 클 것이다.

추석의 아름다운 풍경, 상상으로 그린다
추석! 사실 마음이 설레는 우리 민족 고유의 최대명절이다. 여느 때 같으면 자식들이 고향을 찾아 추석명절을 쇠러간다는 큰 기대감은 마음을 설레게 하고 삶의 희망의 에너지가 되곤 했다. 고향에 대한 향수를 그리워하며 부모님을 찾아뵙기를 손꼽아 기다려 오기도 했다. 가족 간의 끈끈한 연대는 일상생활의 에너지 원천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가족과 함께 하는 명절은 행복한 삶의 근원적 역할이 되기도 했다. 이런 만남의 고귀한 가치를 코로나가 다 앗아가는 기분이다. 더구나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고향 들판의 아름다운 풍경을 볼 수 없는 게 더욱 안타깝다.

추석명절은 또 우리 고유의 추수감사제이기도 하다. 그해 첫 수확한 쌀로 술과 떡을 빚어 조상께 올리는 차례를 지낸다. 햅쌀로 빚은 송편은 추석의 상징이다. 가족끼리 오순도순 모여앉아서 정담을 나누며 반달모양이니 무슨 꽃 모양이니 해서 다양한 모습의 예쁜 송편을 만들기도 한다. 생각만 해도 아름다운 추억이 담긴 명절풍경이다.

이런 모습의 우리민족 고유의 문화적 가치가 코로나사태를 기점으로 빠르게 퇴색하게 될까 걱정이다. 서구의 물질문명생활의 영향으로 우리의 전통명절의 풍습을 경시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서 더욱 염려스럽다.
아무리 과학문명이 발달하고 역병이 발생했더라도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은 민족적 자존감이다. 전통 명절풍속과 명절음식에는 민족의 자긍심이 담겼다. 원래 세시풍속은 조상들의 생활의식과 지혜가 담겨있는 철학적 기반 위에서 이해돼야 한다. 우리 민족의 독특한 정서를 함께 공유하며 지켜나가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이번 명절에는 비록 고향에 못가더라도, 한가위라는 민족명절의 의미와 우리민족 고유의 정신문화에 대한 소중함을 더 느꼈으면 한다.
전통문화는 우리 자신들을 궁극적으로 정의한다고 말한다. 이는 곧 우리의 가치관을 설정하며 우리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전통문화의 본질을 외면하다면 우리의 정체성을 가질 수가 없다. 앞으로도 우리의 전통문화사상을 쉽게 잊지 말고 잘 보존해 나가자.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