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원 택시 등 농촌형 교통모델 이용객 300만명 육박

▲ 지난 24일 국회에서는 농어촌의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인건비 늘고 재정지원금 커지는 문제 등은 해결 과제
도로환경 단순한 농어촌, 자율주행버스 도입도 고려해볼만

이른바 100원 택시로 알려진 ‘농촌형 교통모델’ 사업은 인구감소에 따른 대중교통 수요감소로 기존 대중교통 체계로는 수익을 얻기 어려워지면서 농촌주민의 기본적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사업이었다. 2018년부터 전국 82개 군에서 버스형과 택시형으로 나눠 시행되고 있다. 버스형은 운수회사가 아닌 자율방범대, 마을자치회, 지역아동센터 등이 버스를 운행하고 차량 구입과 개조비, 인건비와 유류비 등을 지원하는 방식이고, 택시형은 버스조차 다니지 않는 지역에 운행 시 발생하는 손실금을 보상하는 개념이다.

농식품부에 의하면 지난해 농촌형 교통모델 이용자는 296여만 명에 달했다. 2017년 28만6000여 명에 비하면 10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정류장 접근시간과 대기시간이 줄면서 서비스 만족도도 크게 상승했다. 하지만 여전히 지자체의 교통재원 한계, 늘어나는 교통약자, 낮은 양질의 대중교통 서비스로 요약되는 농어촌의 교통복지를 재정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은 가운데 지난 24일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의원(전북 정읍·고창) 주최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먼저 주제발표에 나선 충남연구원 김원철 연구위원은 고정적 노선이 아닌 수요가 있을 때 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서비스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의 효율적인 운용이 해답이라는 주장을 내놨다. 김 위원은 “충남은 대중교통 사각지역 제로화를 위한 방안으로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소형승합차를 집중 투입해 이용자 집 근처에서 탈 수 있도록 하고, 선호도에 따라 고정·자유시간표를 병행 운영하며, 마을과 면소재지나 읍사무소까지 운행하는 공공형택시 도입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충남은 올해 11.8%의 대중교통 사각지역을 2035년까지 제로화한다는 계획이다.

전북연구원 김상엽 박사는 “완주군은 이용 1시간 전 예약하면 마을과 주요 거점을 운행하는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부릉부릉’을 운영 중”이라며 “전북의 9개 시·군은 소형승합차를 통해 500원~1000원의 요금을 받으며 주중 또는 매일 운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지난해 이용객을 보면 진안군이 월평균 9811명으로 가장 많고, 9개 시군 월평균 합계이용객은 2만1175명이었다. 수요응답형 택시는 전북 13개 시·군이 500원~2000원의 요금을 받고 993개 마을에서 운행하고 있고, 지난해 월평균 이용객은 2만6791명이었다.

하지만 어려움도 있었다. 김 박사는 “지난해 근로기준법이 일주일 최대 근로시간이 52시간으로 정해지면서 버스 운전기사가 부족해졌고, 그에 따른 운행횟수 감소, 배차간격 증가로 서비스가 저하됐다”면서 “이용객이 줄면서 재정지원금은 늘어나게 되는 악순환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주요 정류장을 경유하는 간선노선과 거주지와 간선 정류장을 연결하는 지선노선을 도입하면 운행횟수는 늘어나고 배차간격도 감소할 것으로 김 박사는 예측했다. 또한 차량을 소형화하고, 정류장 대신 마을회관에 도착시간 안내 모니터 설치와 자율주행 버스 도입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자율주행버스는 농어촌 도로가 속도가 낮고, 도로가 단순해 도입하기 용이하고, 인건비 문제도 해결의 가능성이 높다. 관광용도이긴 하지만 군산시 고군산도는 자율주행 전기차를 도입해 무료로 이용객을 수송하고 있기도 하다.

농림축산식품부 최정록 농촌정책과장은 농촌형 교통모델을 통해 의료·문화·복지 등 공공서비스 접근성이 높아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농촌형 교통모델을 통해 버스형은 66개 군, 택시형은 78개 군이 참여하고 있으며, 차량은 버스와 택시를 모두 합해 5016대가 운행하고 있다. 최 과장은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 광역지자체에 교통전문가 컨설팅 지원 확대와 정산의 오류를 줄이기 위한 디지털 정산시스템 도입을 장려하고 있다”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국토교통부 나기호 대중교통과장은 “올해 KTX를 이용하기 어렵다는 불편을 해소코자 역사와 터미널을 연결하는 수요응답형 버스 도입을 추진했지만 버스와 택시사업자의 반대와 지자체의 적극성 부족으로 무산된 적이 있다”면서 “이같은 갈등을 줄이기 위해선 기존 대중교통과 연결을 강화하는 길이 좋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