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희 기자의 ‘세상만사’

축국은 지금의 축구와 같은 옛날의 공차기 놀이였다. 이를테면 서양의 풋볼이 현대식 축구라면 축국은 동양의 고대 축구였던 셈이다. 축국의 기원에 대해서는 고대 중국의 황제(皇帝)라는 임금이 군사들을 훈련시키는 놀이로 시작하였다는 전설같은 얘기가 전해져 온다.
우리나라에는 신라·고구려·백제 때 당나라로부터 전해졌다는 옛책의 기록이 있다. 중국 <당서(唐書)>에는 ‘고구려 풍속으로 사람들이 축국을 잘한다’는 기록도 보인다. 특히 <삼국사기><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유신(庾信, 김유신)이 춘추공(春秋公, 태종무열왕 김춘추)과 더불어 정월 오기일(午忌日)에 유신의 집 앞에서 축국을 하다가 고의로 춘추공의 옷을 밟아서 옷고름을 떨어뜨렸다’는 기록이 있어 축국놀이가 성행하였음을 짐작케 한다. 이 고사이야기는 김유신이 자신의 여동생 문희와 김춘추를 짝 지워주기 위해 일부러 춘추의 옷고름을 밟아 떨어뜨렸고, 떨어진 옷고름을 여동생 문희에게 꿰매 달아주게 함으로써 연인의 연을 맺게 되었다는 뒷얘기로 세상에 더 잘 알려져 있다.
<동국세시기>와 <무예도보통지>라는 옛책에는 조선시대 사람들이 축국을 즐겼다는 기록이 보인다. - ‘젊은이들이 축국놀이를 하는데 공은 대포알 만하고 공 위쪽에 꿩털을 꽂았다. 두 사람이 마주 서서 번갈아 차는데, 공을 땅에 떨어뜨리지 않아야 잘한다고 했다. 겨울부터 시작하여 설날에 많이 한다’ ‘축국은 구희(球戱, 공놀이)이다. 옛날에는 털을 묶어 공을 만들었고, 지금은 가죽태(소의 오줌통) 속에 바람을 불어넣어 이를 찼다.’
이 기록에 보이듯이 두 사람이 제기 차듯이 공을 주고받아 <재물보(才物譜)>라는 옛책에서는 축국을 ‘제기’라고 풀이해 놓았다.
공은 고대시대에는 가죽주머니 속에 쌀겨나 동물의 털을 넣어서 둥글게 만들거나 돼지나 소의 오줌보에 바람을 불어넣고 입구 주둥이를 노끈으로 묶어 만들었다. 예전 어렸을 적, 명절 때가 되면 동네에서 몇몇 집이 기르던 돼지를 목을 따 잡곤 하였는데, 우리가 노린 건 돼지 오줌보였고, 그것을 받아들고는 물에 헹궈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은 다음 편을 갈라 축구를 찼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히 떠오른다.
지난 13일 세계인의 축제인 브라질월드컵의 막이 올랐다. 독일, 브라질, 이탈리아, 스페인, 아르헨티나와 함께 8회 연속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우리나라의 선전에 온 국민의 ‘잠못 이루는 밤’이 이어지고 있다. 2002년의 4강신화가 과연 재연될 수 있을까…? 꿈★은 이루어질 수 있을까. ‘짝짝짝 짝짝 때~한~밍국~!’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