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희의 '세상만사'

‘4월은 가장 잔인한 달(April is the cruellest month)/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내고/추억과 욕정을 뒤섞고/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웁니다./겨울은 오히려 따뜻했지요/망각의 눈으로 대지를 덮고/마른 뿌리로 약간의 목숨을 남겨 주었습니다.…’
이 시는 영국의 모더니즘 시인인 T.S 엘리엇(Eliot;1888~1965)이 1922년 발표한 시 <황무지(荒蕪地, The Waste Land)>의 앞부분이다. 이 시는 도무지 난해함에도 불구하고 ‘20세기 시 중에서 가장 중요한 시 중의 하나’라는 찬사를 받으며 많은 이들이 4월의 전령(傳令)으로 읊조렸다. 죽은 듯 잠들어 있는 온갖 생명을 깨워 일으키는 약동의 4월을 오히려 역설적으로 잔인한 달이라 한 것은 차라리 눈물겨운 애수다.
4월을 주제로 한 흘러간 영화도 있다. 1957년 20세기 폭스사가 제작한 <에이프릴 러브(April Love, 사월의 사랑)>가 곧 그것. 가수이자 배우인 팻분과 셜리 존스, 아더 오코넬이 출연한 이 영화는, 영화보다는 매력적인 저음의 소유자 팻분이 직접 부른 주제가가 대히트해 밀리언셀러를 기록했다.
부드러우면서도 솜사탕 같은 팻분의 목소리에 빨려들어 많은 젊은이들이 꿈같은 4월의 사랑을 꿈꾸었다.
‘4월의 사랑은 우리들 청춘을 위해 있네/모든 별마다 그대의 소망을 위한 별이 되어 반짝이고 있네/4월의 사랑은 아무도 이루지 못하는 기적같은 것/단한번의 키스로도 진실을 말할 수 있지’
(April Love, is for the very young/Every star’s a wishing star that shines for you/April Love is all the seven wonders/One little kiss can tell you this is true.)

4월의 첫날을 서양사람들은 ‘에이프릴 풀스 데이(April Fool’s Day)’라 하여 ‘4월 바보의 날’로 부른다. 이제는 우리의 뇌리에서도 많이 잊혀진 만우절(萬愚節)이다. 1712년경 프랑스에서 긴장을 푸는 의미로 이날 하루를 바보짓을 하는 날로 보내게 되었다는 데서 유래한 이 풍습은, 세상사에 찌든 서민들에게는 유쾌한 카타르시스 였다. 이날의 악의 없는 거짓말을 서양에서는 ‘4월의 물고기(April Fish)’에 비유하기도 한다. 4월의 물고기는 어려서 잡기가 쉽기 때문이라는 것.
오는 4월1일 만우절 하루만이라도 ‘우리나라 서해유전에서 파는 곳마다 석유가 콸콸!’ ‘정부 복지세일-아파트 무료공급!’…
이런 뉴스를 기대하는 건 맹랑한 일장춘몽(一場春夢)일까….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