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과 관련된 재해, 사고, 농작업 과정에서 생겨나는 질병 등으로 농업인의 안전과 건강이 위협을 받고 있어 근본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같은 내용은 지난 9월 17일 농촌진흥청에서 열린 한일 공동 세미나에서 지적됐다. 우리나라 농업분야의 산업재해율은 1.2%로 전체산업 평균재해율 0.7%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농부증도 1999년 28.5%에서 2004년엔 42.7%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농기계 관련 안전사고는 2006년 57건, 2007년 115건, 2008년 98건 등으로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농약관련 안전사고도 2006년 20건, 2007년 50건, 2008년 34건으로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민의 먹을거리를 책임지고 있는 농업인이 이처럼 안전에 취약한 환경에서 종사해야 한다는 것은 국가전체를 놓고 볼 때 결코 바람직스런 일이 아니다. 특히 농촌은 고령화, 부녀화가 크게 진행되어 있고 사고나 재해의 발생시 대처할 기반시설도 부족하다. 이미 농업은 국제노동기구(ILO)에서도 건설업, 광업과 함께 세계 3대 위험산업으로 분류돼 있다.
따라서 농작업과 관련된 안전과 사고발생을 줄일 수 있는 연구의 확대, 정책의 개발, 사회제도의 개선, 농업인에 대한 교육과 정보전달 등이 과제로 대두된다. 농업은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의 기본 산업이고 농업인은 이를 이끌어나가는 주체다. 당연히 안전한 작업환경과 건강관리에 국가가 강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농업인의 안전과 재해 예방은 곧바로 국가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