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을 사수하자! - ② 쌀 주요 수출국의 수출전략

■  전문가 칼럼

박 평 식 박사
농촌진흥청 식량과학원

 

최근 세계의 연평균 쌀 생산량은 4억2천200만톤이며, 교역량은 7% 내외인 2천900만톤 정도다. 우리나라에 최소시장접근(MMA)으로 들어오는 쌀의 쿼터를 확보하고 있는 나라는 중국(56.6%), 미국(24.4%), 태국(14.6%), 호주(4.4%) 등이다. 우리 쌀이 이들 국가와 직접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수출국들의 동향과 전략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

◇ 중국의 쌀 생산과 수출
중국의 벼 재배면적은 약 2천900만ha, 생산량은 정미 1억3천톤 수준이다. 중단립종 자포니카 쌀은 주로 동북3성(헤이룽장, 지린, 랴오닝)에서 대부분 생산하고 있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와 인접하고 고품질 쌀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지역이다. 중국은 매년 100만톤 내외의 쌀을 수출하고 수입도 하는데, 가까운 우리에게 가장 큰 위협이 된다.
중국은 최근 한국과 일본에 고품질 쌀 수출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동북3성의 쌀 생산정책을 살펴보면, 다수확에서 고품질 쌀 생산으로 전환하고 녹색식품을 강조하며 친환경 이미지로 국내외 판촉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조선족 마을을 중심으로 양질미 시범단지를 조성해 연구기관의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아프리카·아시아 저소득 국가에는 품질이 떨어지는 장립종 쌀을 수출한다. 농산물 수출계획에서도 고품질과 브랜드화로 국제경쟁력 향상을 강조하고 있다. 주목할 점은 한국과 일본 시장에 쌀 수출촉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체계를 확대하고, 통상외교 강화로 국제적 수출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 미국의 쌀 생산과 수출
미국의 벼 재배면적은 116만ha, 생산량은 약 700만톤이다. 세계 쌀 생산량의 1.4% 정도를 차지하지만,생산량의 절반 정도를 수출하는 주요 수출국이다. 주요 생산지역은 아칸소(47%), 캘리포니아(17%), 루이지애나(16%), 미시시피(8%), 미주리(7%) 등이다. 계통별 면적은 장립종이 71%, 중립종 27%, 단립종 2% 내외이다. 캘리포니아는 중·단립종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일본·대만 등 3국에 중립종인 캘리포니아 쌀을 수출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중립종 쌀 가격은 동남부지역 쌀 가격보다 대체로 높다. 유럽으로 수출하는 대부분의 쌀은 현미로 나가 현지에서 백미로 가공되며, 중동·아프리카·서유럽 등지에서 태국·베트남 등 아시아 쌀 수출국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산 쌀은 상품의 다양화, 충분한 물량, 신뢰성과 서비스 제공 등이 강점이다. ‘미국쌀연합회’는 정부에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시장접근을 요구하고, 의회와 농무부 등과 접촉해 수출촉진 사업에 적극 협력한다. 쌀 수출 지원정책을 보면 ▲수출신용보증 ▲공급자 신용보증 ▲미국농산물 재고처분과 인도적 차원의 해외식량원조(PL-480 등) ▲생산자단체에 기술적·재정적 지원을 하는 해외시장개척 프로그램 등이 체계적으로 가동되고 있다.

◇ 태국의 쌀 생산과 수출
태국은 세계시장에 쌀을 매년 900만톤 내외를 수출하는 최대 수출국이다. 수출가능성이 높은 12개 품종을 장려하고, 그에 적합한 도정설비를 갖추고 있다. 소량의 자포니카 쌀은 한국·일본계 식당에 납품하거나 과자류, 쌀가루, 소주와 와인 가공에 이용된다. 고품질 장립종 쌀은 유럽·중동·아프리카 등에서 미국의 고품질 쌀과 경쟁한다.
태국은 ‘쌀 수출국기구’ 창설을 제안하고, 베트남과 가격무경쟁 합의를 이루기도 했다. 수입국인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와는 정부간 협상으로 시장을 관리하고 있다. 수출 쌀의 표준과 절차, 쌀 품질관리 캠페인 등에 정부와 업자가 협력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