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포도 면적 지속 감소…명태·도루묵도 급감
감귤 등 아열대과수 전남‥경남 등으로 확대

 

지구 온난화로 한반도에서 사과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복숭아와 감귤면적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반도 연해에서 냉수성 어종인 명태·도루묵의 어획량은 감소하고 멸치 등은 생산량이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과·감귤 재배지 점차 북상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농어업생산 변화’ 자료에 따르면 온대 과일인 사과는 지구온난화로 아열대 기후대가 증가하면서 전국의 사과 재배면적은 1996년 4만3천650ha에서 2007년 2만9천204ha로 급감했다. 특히 남부지방의 사과 경작지가 줄고 재배지가 중부지방으로 북상했다.
복숭아는 전국적으로 재배면적이 늘어났다. 기온상승의 여파로 동해 발생지역이 줄어들면서 주산지도 경북에서 충북·강원 등으로 북상하고 있다.
대표적인 아열대 과수로 제주도에서만 재배됐던 감귤은 전남과 경남 등으로 재배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제주지역 감귤 재배면적은 2000년 26,813㏊ 최고를 기록한 이후 2005년 21,430㏊로 계속 줄고 있으며, 2002년에 10ha에 불과했던 전남지역의 감귤 면적은 2005년에 74ha로 급증했다.

포도는 한·칠레 FTA 등 시장 개방의 여파로 재배 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주산지인 경북의 감소폭이 크다. 반면 기후온난화의 영향으로 강원도가 새로운 주산지로 부상하고 있다.
내한성이 약해 주로 남부지방에 재배되던 쌀보리의 재배가능지역은 충북·강원지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고령화와 가격 경쟁력 하락 등의 원인으로 쌀보리 재배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주산지가 전남에서 전북 등으로 북상하고 있는 추세다.
가을감자의 경우 감자 2모작이 강원도까지 북상해 재배면적이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남과 전북의 가을감자 재배면적은 1990년 중반부터 역전돼 최근에는 전북의 재배면적이 전남의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오징어·멸치 증가, 명태·도루묵 감소
온수성 어종인 오징어는 어획량이 1998년 16만3천톤까지 떨어졌지만 지난해 18만6천톤이 잡히는 등 최근 20만톤 내외의 생산량을 보이고 있다. 수온변화에 따른 이동경로 변화에 따라 서해에서도 오징어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섭씨 15~19도에서 서식하는 대표적 온수성 어종인 고등어 생산량도 수온상승의 여파로 증가 추세다. 1991년에 9만2천톤이었던 어획량은 2006년 13만6천톤, 2008년 18만7천톤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멸치도 마찬가지. 1990년 16만8천톤에 불과했던 어획량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대부분 20만톤을 웃돌고 있다. 지난해에는 26만2천톤이 잡혔다. 멸치가 늘어나면서 이를 먹이로 하는 고등어, 삼치, 다랑어 등의 생산량 증가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하지만 대표적 냉수성 어종인 명태는 어린 새끼고기(노가리)와 어미고기의 무분별한 어획과 연안수온 상승으로 생산량이 급감해 1990년 2만7천톤에서 매년 감소하기 시작, 2001년부터는 생산량이 1천톤 이하로 떨어졌다.
겨울에 동해연안에서 알을 낳는 냉수성 어류인 도루묵도 수온상승과 산란기 어획으로 자원이 감소해 1970년대 2만여톤의 최고 생산량을 기록한 후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해 최근에는 평균 3천톤 미만의 어획량을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