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현실에 맞는 저탄소농법 개발․보급 중요

실천가능한 구체적 사업 제시와 인센티브 뒤따라야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어 지구환경 보존과 인류의 생존권을 사수하기 위한 탄소중립이 글로벌 어젠다로 자리매김했다. 세계 각국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해 추진해나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도 ‘2050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분야별 이행계획을 세워 발표했다. 농식품 분야는 생산단계에서부터 유통, 소비, 에너지 전환 분야까지를 포함해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38% 감축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영농기반과 농사기술, 농자재 등을 환경친화적으로 전환하고, 영농 에너지도 태양광 등 친환경적인 기술로 대체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여나간다는 게 골자다. 

하지만 이러한 탄소중립 계획이 농업 생산현장에서 정부의 기대만큼 이행될지는 미지수다. 본사가 최근 개최한 ‘2050 탄소중립과 농촌여성의 역할’이란 학술토론회에서 토론에 나선 각계 전문가들의 지적과 제언을 분석해보면 이 같은 우려가 기우가 아님을 알 수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농업이 온실가스 배출의 1/4를 차지하고 있어 기후변화의 가해자인 동시에 최대의 피해자가 됐다며, 앞으로의 농업혁신은 비료·농약·다수확종자, 농경지를 모두 축소하고 기술력으로 생산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IT를 융합한 스마트농업, 정밀농업과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하고, 농업생산과 연구를 위한 인프라와 시스템 정비에 대규모 투자가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재 우리 농업은 여전히 고령의 농업인들에 의한 관행농법이 주를 이루고 있어, 디지털·스마트농업이 확산되는데 현실적인 벽이 있다.

게다가 IT에 강점이 있는 젊은 청년농업인 영입은 더딘 게 현실이다. 탄소중립에 대한 명확한 인식도 없는 고령농들에게 탄소중립은 머리 아프고 성가신 과제다. 하지만 기후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지구생태계와 인류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는 지금의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서는 더 이상 미뤄서도 안 되는 게 탄소중립이다. 현재의 농업구조에 맞는 유연한 정책과 실천가능한 구체적인 사업과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농업인 교육과 영농기술 보급 등을 담당하는 최일선 기관인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도 이를 강조하고 있다. 벼농사 대신 타작물을 재배할 경우에 필요한 인력 대책, 친환경농업 확대에 따른 소비처 확보와 관행농가와의 소득 불균형 지원책, 로컬푸드 출하농가 확대를 통한 농산물 유통체계 개선, 가축분뇨비료 활용 촉진을 위한 지원 확대 등이 그것이다.

이 같은 영농분야 탄소중립 실천전략 못지않게 깨끗한 농촌환경 유지·보존을 위한 농촌주민들의 생활 속 온실가스 절감 노력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농촌주민 개개인보다 단체를 중심으로 교육과 홍보를 통한 인식 전환, 실천가능한 과제 선정과 지속적인 활동, 탄소중립 활동 확산을 위한 중앙·지자체의 적절한 지원 등이 뒤따라야 한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가 현 세대가 아닌 미래세대들에게서 빌려온 것이라는 책임감으로 각자 작은 일부터 실천해나가야 한다. 그러한 노력들이 정착돼 일상화될 수 있도록 모두의 관심과 실천을 게을리해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