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의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OECD 국가 평균인 80.5년을 상회하고, 1인당 연간 외래진료 횟수는 14.7회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다. 하지만 예방활동이나 시의적절한 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막을 수 있는 사망을 뜻하는 회피가능사망은 OECD 평균보다 낮다. 또 우리나라의 의료장비 보유 수준은 높지만 의사나 간호사 등 보건인력 수는 OECD 평균을 한참 밑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OECD 보건통계 2022’로 본 우리나라의 보건의료 현주소다. 

더욱이 우리 농촌지역은 의료인프라가 열악하고, 의사 수도 턱없이 부족하다. 큰 병을 치료할 대형병원은 수도권 등 대도시에 집중돼 있어 진료 절벽이 심각하다. 농촌진흥청의 ‘2021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농촌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노인들은 보건소 등 공공의료기관보다는 96% 이상이 민간의료기관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료기관 접근성도 취약했다.

젊은 층은 부인과나 소아청소년과 치료를 받으려 해도 적합한 의료기관을 찾기가 어렵다고 한다. 이러한 농촌 의료인프라 부족 상황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민간의료기관이 농촌지역에 들어가려 하지 않는다. 지역의 공공의료기관도 환자들이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가는 바람에 적자로 문을 닫는 지경이다. 결국 정부의 지원이 중요하다. 국민 먹거리 생산과 자연환경 보전 등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농촌주민들에 대한 정부의 공적지원은 당연한 책무이자, 식량전쟁의 최일선에서 땀 흘리는 농군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