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 기고 - 김정현 경희대학교 강사, 홍콩 폴리텍대학교 , 호텔관광경영학 박사

"단기체류형 관광에서 
‘힐링관광’으로 전환해 
시대적 흐름에 부응해야"

▲ 김정현 경희대학교 강사, 홍콩 폴리텍대학교 , 호텔관광경영학 박사

농어촌은 농어민이 생업을 영위하는 삶의 터전이지만 우리 국민의 휴식공간이기도 하다. 농어촌을 찾는 관광객 수는 전체 국민의 약 30%에 이른다고 한다. 농어촌의 가치는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을 거치면서 더욱 중요해졌다. 우리나라의 산, 강, 바다 등 농어촌 환경과 생태, 역사, 문화와 음식은 농어촌 관광의 주요한 자원이다. 코로나 팬데믹 공포 이후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늘어나고 탈도시, 웰니스, 치유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농어촌 관광이 새로운 영역인 ‘치유관광’(Healing tourism)으로 다가오며 새로운 관광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치유관광’은 정신적·심리적 치유를 희망하는 수요를 관광과 연계시키는 것이다. 

‘치유’라는 개념보다 ‘힐링’으로 알려진 우리나라의 치유 역사는 농산어촌에서 시작했다. 산림청은 10여 년 전부터 산림치유사업을 추진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해양수산부에서도 몇년 전 해양치유 사업을 시작했다. 농촌진흥청은 2021년 3월부터 치유농업법을 제정해 치유농업사 양성 등 많은 사업을 추진 중이다. 

치유농업은 원예치료에서 시작됐으나 최근에는 동물 사육, 농산어촌 관광과 역사 탐방, 민박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도시민의 탈도시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귀농·귀촌이나 국민의 힐링 욕구도 나날이 늘어났다. 감염병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면역력이나 저항력을 강화시키는 음식 수요도 증가했다. 의료관광, 웰니스 관광, 치유관광 등 농산어촌을 대상으로 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관광정책을 보고, 먹고, 마시고, 쇼핑하는 등의 단기체류형 관광에서 ‘힐링관광’으로 전환해 시대적 흐름에 부응해야 한다. 이 부분에 우리나라가 경쟁력이 높기 때문이다.

이 같은 치유관광을 본격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치유관광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한다. 치유관광은 농어촌을 활성화시키는 국가적 과제다. 지역 불균형 해소, 지역 청년일자리 창출, 지방대학 살리기, 농촌소멸 방지 등에 매우 중요하다. 치유관광은 융복합 산업이기도 하다. 휴양관광, 바이오, 의료서비스, 웰니스, 치유농업 등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를 내는 분야다.

둘째, 치유관광의 근거 법령을 마련하고 지원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치유관광에 관한 통합적 근거 법률이 없고 부처마다 각기 다른 법령으로 치유 업무가 추진된다. 이에 ‘관광산업법’을 개정해 ‘치유관광’의 근거와 기능을 확충해야 한다. 문화체육관광부, 산림청, 농촌진흥청, 해양수산부, 보건복지부 등 여러 부처의 협업과 통합조정도 필요하다. 

셋째, 치유관광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우리나라 관광의 근본적인 문제점이 콘텐츠 부족이다. 농어촌 관광도 매력적인 콘텐츠가 별로 없다. 그렇기에 농어촌 치유관광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산업계는 치유관광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학계는 선진 관광교육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새로운 관광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시켜야 한다. 농촌진흥청과 농림축산식품의 치유농업 관련 연구개발과 지원강화도 필요하다. 치유관광 효과에 대한 과학적 검증도 필요하다. 현재 치유만족도 중심의 측정지표 외에 의·과학적 측정지표 개발이 필요하고, 보건복지부 등 관련 부처와의 협조도 필요하다. 

넷째, 치유관광을 글로벌화해야 한다. 전 세계에 확산되고 있는 K-열풍을 치유관광으로 연계해보자. 명상과 힐링 등 새로운 관광수요를 한류, K-컬처, MZ세대와 융·복합시키자. 치유관광은 특정 부서나 특정 종교의 전유물이 아니다. 현 정부의 ‘치유관광’ 활성화와 글로벌화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