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58개 새일센터 중 농어촌형 9곳에 불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는 5월20일 전체회의에서 농어촌에 더 많은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하 새일센터)가 지정될 수 있도록 여성가족부에 촉구했다. 여성의 경력단절로 인한 사회적 손실이 크다는 점과 취업과 창업에 있어 도시보다 기회자체가 적은 농어촌에 새일센터 존재가치가 더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새일센터는 혼인·임신·출산·육아, 가족구성원의 돌봄 또는 근로조건 등으로 단절된 여성에게 취업상담, 직업훈련교육, 인턴십과 취업 후 사후관리 등 종합적인 취업지원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함으로써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과 경력단절 예방법’에 의거한 새일센터의 운영기관은 여성인력개발센터가 58곳으로 가장 많고, 여성회관과 대학, 지자체, 기타 법인과 단체 순이다. 지원예산은 직업교육훈련과 운영지원을 위한 여성가족부 약 711억 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고용노동부 약 115억 원과 지자체 약 322억 원을 합친 약 1150억 원 규모다.

▲ 새일센터는 이용자와 취업건수 등이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경남·경북·경기는 단 한 곳도 없어 지역별로 편중
민간에 위탁운영하는 새일센터는 고용불안 심각

농어촌형 새일센터 불과 5%대
2009년 72곳에서 지난해 기준으로 158곳이 운영되고 있는 새일센터는 농어촌형은 강원(양양·영월·정선) 3곳, 충북 영동 1곳, 충남(부여·서천·홍성) 3곳, 전북 완주 1곳, 제주 한라 1곳 등 총 9곳이다. 비율로 따지면 5% 수준에 불과하다. 경남·북과 경기도에는 단 한 곳도 없어 지역적 편중도 심하다. 최근 여성가족부가 일반형 새일센터 중 농어촌 특성이 강한 지역은 농어촌형으로 전환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경제활동에 나서고 싶어하는 농촌여성의 수요를 감안하면 거북이걸음에도 못 미친다는 지적이다.

강원 양양새일센터도 2013년 운영을 시작해 2020년 일반형에서 농어촌형으로 전환한 케이스다. 인구 약 2만8000여 명의 양양은 여성들의 일자리가 필요로 하는 기업이 크게 적어 취업보다는 창업이 용이하다는 점, 농어촌 산업 비중이 높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양양새일센터 장필순 팀장은 “새일센터 평가에서 일반형으로 있었을 땐 인구가 적은 양양은 불리한 측면이 있었다”며 “창업중심 직업훈련으로 전환하고, 올해는 친환경·새활용공예 전문가 과정, 펫푸드 전문가 과정, K-먹거리 취창업 과정 등을 새롭게 개설했다”고 소개했다. 3개 과정의 자부담은 5만 원으로 수료 시 전액 환급되며, 교통비도 월 5만 원 지급되는 등 사실상 본인부담은 없는 셈이다. 농어촌형 새일센터의 과정 당 교육인원은 15명으로 탄력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했다. 장 팀장은 “아무래도 모집인원을 채우기가 빠듯한 게 사실이다. 인원을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할 필요성은 농어촌형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설명했다. 보다 소수인원으로 인원을 정할 수 있도록 하면 과정의 내실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교육내용도 특화할 필요가 있다. 정부의 지침에 따르면 농어촌형은 농어업과 6차산업 교육을 우선하되 직업교육훈련은 2개 이내로만 운영하도록 했고, 이 경우 훈련비 기준 단가도 20% 상향할 수 있도록 했다. 양양새일센터도 교육과정을 개설할 때 이같은 사항을 고려했다. 일반형에서 전환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지난해 도시락과 인테리어 소품 중개, 교육교재·교구 대여 등의 창업한 여성이 4명, 예비창업자 2명 발굴, 창업교육과 멘토링 27회, 상담건수 17회 등의 실적을 거뒀다. 올해도 3개 과정을 새롭게 마련한데 이어 창업교육과 멘토링, 창업행사 연계, 지원사업 연계, 상담건수 등을 더 늘릴 계획이다.

 

▲ 농어촌형 새일센터는 지역특성에 맞는 창업위주의 직업훈련으로 여성의 경제활동을 촉진하고 있다. 사진은 양양새일센터의 교육과정 모습.

지자체 직영의 농어촌형으로 전환 시급

고용불안도 큰 문제
여성가족부에 의하면 새일센터 이용자는 2009년 13만 명에서 지난해 64만 명으로 늘었고, 같은 기간 취업에 성공한 구직자는 연간 6만8000여 명에서 18여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에 새일센터가 나름의 역할을 했다는 것이 객관적으로 증명된 것이다. 이는 농어촌형 새일센터 확충이 대대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또한 주목해야 할 점은 고용안정성이다. 현재 새일센터의 운영기관은 여성인력개발센터를 포함해 민간에 위탁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장필순 팀장도 “신분이 안정적이면 새일센터를 찾는 여성에게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다가갈 수 있다”면서 “처음에 이곳의 문을 두드리는 게 쉽지만은 않은데 일한 경험이 충분한 숙련도 높은 취업상담사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천지 차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5명 내외의 소수의 인원이 근무하는 농어촌형 새일센터는 지자체 직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아닌 민간에서 위탁운영하는 경우 이직률이 높다는 공통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민간단체가 위탁운영하고 있는 농어촌형 새일센터 A팀장은 “상담과 교육훈련을 통해 많은 여성에게 좋은 기업과 매칭시켜 주고 있지만 담당자 월급은 정해진 예산에서 주다보니 항상 부족한데다 비정규직 신분이라 이직하는 직원이 많아 업무 연계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농어촌형으로 전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자체가 직영할 수 있도록 정책적 고려도 분명 있어야 한다”고 호소했다. 취업상담사의 고용불안정은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서비스 질을 떨어뜨리고 결국 존립을 위태롭게 할 수도 있는 문제다. 농어촌형 새일센터는 더더욱 지자체 직영으로 운영해야 할 필요성이 여기에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