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총인구 중 65세 이상이 40% 초과

초고령화 농촌사회 현실이 30년 뒤 전국화

우리나라 인구가 매년 감소해 약 30년 뒤인 2050년에는 5000만 명 선이 무너져 4736만 명에 이르고,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총인구의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은 최근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시도편) : 2020~2050년’을 통해 저출생·고령화 현상의 지속으로 2050년이면 거의 모든 시도에서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생산연령인구가 총인구의 50%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인구 감소에 늙어가는 대한민국의 암울한 미래상이다. 

이번 장래인구추계에 의하면, 2045년 이후에는 전국 모든 시도에서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더 많은 인구 자연감소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 추세는 가속화돼 베이비부머가 65세 이상 고령인구에 진입하는 2020년부터 고령인구가 급증해 2050년이면 10개 시도의 65세 이상 인구비중이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2050년이면 8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3%로 2020년 대비 7.8%p 증가할 전망이고, 경북, 전북, 전남 등 8개 지역의 85세 고령인구 비중은 10%를 초과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출생아 수가 감소하고 기대수명은 증가하면서 전국 중위연령은 2020년 43.7세에서 2050년 57.9세로 높아지고, 특히 전남과 경북, 강원은 60세를 넘어설 것으로 분석돼 생산연령인구 1명이 1명 이상의 노인을 부양해야 할 시대가 될 전망이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2020년 129.3명에서 2050년에는 456.2명으로 3.5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장래인구추계는 2020년 인구총조사를 기초로 출생·사망·인구이동 등 최근 시도별 인구변동요인을 반영해 향후 30년간의 장래인구를 전망한 결과여서 반드시 현실화될 것이라고 단정하긴 힘들겠지만, 현재의 저출생·고령화 현상을 감안하면 전혀 불가능한 미래상도 아닌 듯하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 농촌지역에서 먼저 시작됐다. 농촌지역에서 아이 울음소리가 그친지 오래고, 귀농·귀촌과 청년들의 농업·농촌 유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 먹거리와 농촌사회를 지탱하는 주축은 고령의 주민들이고, 그로 말미암아 지역소멸의 적신호가 켜진 농촌지역이 전국에 한두 곳이 아니다. 이 같은 현실은 통계로도 여실히 드러나 ‘2021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의하면 고령에 따른 농업 포기, 이농 등의 이유로 매년 농가 수가 감소해 2021년 12월 현재 전국의 농가 수는 103만1천 가구, 농가인구는 221만5천 명이다. 농가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농가의 비율은 46.8%에 이르고, 연령별 농업경영주 분포를 보면 70세 이상이 전체 농가의 42.7%로 가장 많다. 경영주 평균연령은 67.2세이다 보니 농업분야의 생산가능연령을 일반 산업과 비교하는 것조차 무의미하다.

지금 우리 농업·농촌은 일상화된 기후위기와 점점 확대되는 시장개방, 수급 불안, 국제정세 불안에 따른 곡물가 상승, 인구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사면초가다. 이번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가 보여주는 경고와 그에 대한 해답을 이미 그 위기를 겪고 있는 농촌에서 찾아야 하지 않을까. 과학기술의 발달로 아무리 기계가 인간을 대신하는 세상이 온다 해도 결국 사람이 경쟁력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