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혜숙 농협중앙교육원 교수

"논밭 태우기 관행이 
없어지지 않고 있다. 
농민들은 농사를 망치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논밭 태우기를 하지만 
오히려 득보다 실이 많다.
해충 억제 효과는 
거의 없는 반면, 익충을 없애고  
산불 위험만 키운다."

▲ 문혜숙 농협중앙교육원 교수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ㆍ동해 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지 한 달여 가량이 지났다. 시간이 어느 정도 흘렀지만 화마가 지나간 자리마다 참혹했던 상처는 여전히 깊게 남아 있다.
동해안 산불로 인한 피해는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다. 피해를 본 산림 면적만도 2만여 ha에 달한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70배, 축구장 3만개 가량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다. 서울 면적의 34% 정도가 피해를 본 것이다. 재산과 인명 피해도 상당하다. 주택 등 건물 640여 채가 불탔고, 이재민은 390여 명에 이른다.   

강원 강릉시 옥계면 산불은 방화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다른 지역은 자연발화인지 담배꽁초 등에 의한 실화(失火)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산불 원인에 대한 정확한 조사는 진행 중에 있다.
이런 가운데 지금 농촌에서는 일 년 농사를 위한 영농준비가 한창이다. 일부이기는 하지만 본격적인 영농철에 앞서 폐고춧대를 비롯해 비닐 등 영농부산물과 폐기물을 태우는 농가 모습을 간혹 볼 수 있다. 논밭 태우기의 관행 역시 여전히 없어지지 않고 있다. 

농민들은 농사를 망치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논밭 태우기를 하지만 오히려 득보다 실이 많아 해충 억제 효과는 거의 없는 반면, 익충을 없애고 산불 위험만 키운다.
농촌진흥청이 최근 발표한 연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논두렁에는 멸구류 등 해충 비율은 4.9∼9.1%로 낮은 반면 거미류 등 익충 비율은 90.6∼95.1%로 높았다. 그런데 논두렁을 태운 후에는 논두렁의 익충 밀도는 태우기 전보다 최대 95.5%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행적으로 하던 논두렁 태우기가 실제론 병충해 방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확인된 셈이다.

산불은 사람의 부주의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다. 소방청에 따르면 산불의 주요 발생 원인의 절반이 입산자 실화나 소각이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이 밝힌 산불 피해 현황 자료에서도 산불 10건 중 3건은 산 인근 지역의 소각행위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국 영농부산물을 태우거나 논밭을 태우는 행위는 이점보다는 오히려 산불과 미세먼지 발생의 우려를 키우고 있는 것이다. 논밭을 태울 때 발생하는 검은 연기인 블랙카본은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주범이다. 블랙카본은 얼음과 눈의 녹는 속도를 높여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킨다. 

한편 고령화된 농촌에서는 영농부산물의 수거ㆍ처리가 쉽지 않은 것도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농업부산물 등을 한데 모아놓고 태우는 일이 근절되지 않고 있어 연간 발생하는 영농폐비닐의 19%에 달하는 6만 톤가량이 땅에 묻히거나 불법소각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농업부산물 수거와 처리가 힘든 지역 등 부득이한 경우에는 시ㆍ군의 허가를 받은 뒤 마을 공동으로 소각 행위를 해야 한다. 불법소각 행위를 막으려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노력도 필요하다. 수거보상금 예산을 대폭 확대해 영농폐기물 수거율을 높이고, 폐비닐을 모아 재활용업체로 옮기는 마을별 공동 집하장을 늘릴 필요도 있다. 또한 불법소각과 관련한 홍보나 계도도 더욱 강화해야 한다.

무엇보다 농가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영농 과정에서 발생한 폐비닐 등은 소각하지 말고 수거해 마을 공동집하장으로 배출하고, 관행적으로 이뤄져온 논밭 태우기를 하지 않는 등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에 힘을 보태서 농촌 환경은 물론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