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일 심농(心農)교육원 원장

"주기적 감염병 발생의
엔데믹시대는 정상적인 삶으로의 
전환을 예고하는 신호탄...
얼어붙은 농촌체험관광 심리도 
새롭게 환기될 것이다.

우리 농촌이 깨끗하고 안전한 
휴식공간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도농교류 활성화에 노력하자.
그게 도시민과 함께하는 
상생의 길이기도 하다..."

▲ 박영일 심농(心農)교육원 원장

요즘 가까운 친구, 친척들을 보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감염자 중 중증·위중증으로 고생하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무증상이나 경증에서 회복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초창기 공포스러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이제는 풍토병 관리형태인 엔데믹으로 전환되고 있는 모습이다. 앞으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의 공존하는 시대로 접어들 전망이다. 방역 패러다임도 계절독감처럼 여겨 확산 억제에서 피해 최소화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엔데믹 시대 전개가 곧 가시권에 접어들고 있다. 

이처럼 코로나19 방역체계의 새로운 변화로 가는 엔데믹시대는 정상적인 삶으로의 전환을 예고하는 신호탄이기도 하다. 따라서 일상 회복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우리가 견뎌온 엄혹한 시간을 딛고 일상으로의 복귀가 다가오고 있다는 의미다. 그동안 꽁꽁 얼어붙은 농촌체험관광 심리도 새롭게 환기될 것이다. 앞으로 엔데믹 상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농촌관광도 새로운 물꼬를 트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지금까지의 관점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지난 2년을 보내면서 농촌은 코로나를 방역하는 최고의 은신처로 인식돼 치유와 힐링의 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 이제 농촌가치의 관광자원화에 대한 긍정적 사고로 자신감 있는 추진력이 필요하다.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선생은 “자신감을 잃는 순간 모든 것이 날아가 버린다”고 했다. 

농촌의 매력 포인트는 무궁무진하다. 이것을 상품화해야 한다. 그래야 농가소득이 증대되고 농촌사회가 발전한다. 농산물도 단순생산에서 벗어나 6차산업화로 한계의 껍질을 벗겨야 도약할 수 있다.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새롭게 접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같은 작목이라도 품종의 다양성으로도 체험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또 마을 자연자원의 관광화와 더불어 음식체험을 곁들일 수도 있다. 어느 야생화마을에서는 야생화 자체가 아름다운 힐링의 관광 포인트도 되지만, 한편으로 이를 맛있는 수제 돈가스로 만들어 새로운 수익을 내고 있다. 고객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경우가 많은데, 그게 또 하나의 소득 향상의 활기찬 문화가 되고 있다고 한다. 

지역이나 마을마다 갖고 있는 독특함을 살려 나가야 한다. 개성과 차별성이 없는 것은 생명력이 약할 수밖에 없다. 다양성을 추구하며 새로운 콘텐츠로 체험거리를 만들어야 가야 한다. 강원도 춘천에서 감자밭카페를 운영하는 이미소 씨(32세)는 아버지가 생산한 감자를 감자빵 체험거리로 만들어서 대박을 치고 있다. 지난해 빵카페에 70만 명이 찾아왔다고 한다. 그는 지속 능한 감자 농사를 지으려면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매개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감자빵’을 개발했다고 한다. 카페 바로 뒤에 작은 감자밭이 있는데, 도시민들에게는 치유의 체험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는 “21세기 농부의 역할은 고객과 소통하는 플랫폼을 만들어 농산물을 가공하고 체험거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농촌은 환경친화적 삶의 공간이다. 고객이 자주 방문하고 오래 머물 수 있도록 체험거리를 다양화해야 한다. 또 그 속에서 재미와 유익함을 동시에 맛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객이 체류하는 동안 농촌 유무형의 상품이 소비된다. 이는 농가소득과 지역경제 부흥에도 기여하는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일상회복 단계로 돌아가는 엔데믹 시대에 우리 농촌이 깨끗하고 안전한 휴식의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도농교류 활성화에 더욱 노력해 나가자. 그게 도시민과 함께하는 상생의 길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